미국 상호관세 부과 초읽기…경쟁국보다 낮은 세율 사활(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현지시간 4월 2일 예고)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우리 정부가 경쟁국 대비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는 것에 초점을 맞춰 대미 협상에 총력을 쏟기로 했다.
3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대로 다음 달 2일부터 각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보인다.
상호관세는 상대국이 부과하는 관세율 수준에 맞춰 동등한 관세를 매기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대미협상 강화…한중일FTA 추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현지시간 4월 2일 예고)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우리 정부가 경쟁국 대비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는 것에 초점을 맞춰 대미 협상에 총력을 쏟기로 했다. 중국 일본 등 주변 국가와의 협력도 강화한다.
3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대로 다음 달 2일부터 각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보인다. 상호관세는 상대국이 부과하는 관세율 수준에 맞춰 동등한 관세를 매기는 것이다.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지난 12일 철강·알루미늄과 최근 자동차 25% 관세에 이어 글로벌 통상 환경에 메가톤급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당초 우리 정부는 상호관세로부터 배제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하지만 미국은 비관세 장벽 세제 환경 환율 정책 등 여러 요인까지 고려해 각국에 상응하는 상호관세를 매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직접 거론하며 무역수지 불균형에 관한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상호관세 한국 배제’가 현실적으로 힘들다고 보고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아 유럽연합(EU) 등 주요 경쟁국 대비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특히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유독 EU 등에 분노를 내비친 점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가령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10%, EU에 20%의 상호관세를 각각 매긴다면 한국산 자동차에는 35%, 유럽산 자동차에는 45%의 관세가 붙어 우리 차가 상대적인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호관세가 시행되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무력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미국의 관세 장벽 강화가 ‘자유로운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상호 무관세를 지향한다’는 FTA 취지에 역행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 왕 원타오 중국 상무부 부장은 이날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가 개최된 것은 2019년 12월 이후 약 5년 만이다. 글로벌 통상 의제에 대응하기 위한 3국 간 협력 강화에 합의하는 한편,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한중일 FTA를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