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이번 계엄내란 광기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30일 "이번 계엄내란이 적나라하게 보여준, 군사력으로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절멸시키려는 광기와 야만의 원형을 제주 4·3에서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또 "나는 작년과 재작년 4·3을 앞두고 현기영의 소설 '제주도우다'와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를 추천했다"면서 "이 책들이 4·3의 슬픔을 문학으로 승화시킨 작품들이라면 이번 책은 4·3의 역사를 정리한 책"이라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 폭력 자행 가장 큰 비극…청산되지 않고 내려오는 역사”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문재인 전 대통령은 30일 “이번 계엄내란이 적나라하게 보여준, 군사력으로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절멸시키려는 광기와 야만의 원형을 제주 4·3에서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나라가 이 지경이니 책 읽을 기분이 나지 않는다”면서도 “우리는 4·3을 제대로 알고 기억하는 일을 멈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 폭력이 자행한 가장 큰 비극이며, 아직도 청산되지 않고 이어져 내려오는 역사이기 때문”이라면서 “청산되지 않은 역사는 대물림 되기 마련이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또 “나는 작년과 재작년 4·3을 앞두고 현기영의 소설 ‘제주도우다’와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를 추천했다”면서 “이 책들이 4·3의 슬픔을 문학으로 승화시킨 작품들이라면 이번 책은 4·3의 역사를 정리한 책”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주제 출신 기자이며 4·3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는 저자는 7년간의 취재와 생존희생자, 유족, 목격자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국제적 냉전체제와 남북분단의 산물인 4·3의 시대적 배경과 성격부터 발생원인과 전개, 미 군정의 역할, 학살의 책임자들과 살아남은 사람들의 이야기, 특히 가장 크게 고통받아야 했던 여성들의 이야기, 제주 전역과 올레길에 남아 있는 비극의 흔적들,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특별재심과 개별보상까지, 우리가 알아야 할 4·3의 진실들을 기획기사를 쓰듯이 정리했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19470301~19540921’은 제주 4·3이 시작된 날과 끝난 날”이라면서 “무려 7년 동안 지속된 비극의 역사였음을 보여주는 제목이다. 저자가 말하듯이 제주 전역과 올레길 곳곳에 4·3의 흔적들이 남아 있으나, 길을 걷는 이들의 눈에 4·3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이 책을 읽고 제주를 오갈 때 여전히 남아 있는 그 흔적들을 잠시라도 떠올려준다면 4·3의 희생자들과 제주도민들에게 큰 위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황병서 (bshwa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런 상황에 산에서 담배를”…역대 최악 산불에도 ‘안전불감증’ [르포]
- '월세 1억3000만원' 내는 BTS 제이홉…부동산 투자 보니[누구집]
- [단독]與주장 '이재명 파기자판' 불가능..2심 무죄→형확정 전무
- 뉴진스-어도어 운명 가를 본안 소송 이번주 시작
- "먹고 나면 속 편하대" 우르르…강남서 인기 '빵' 터졌다[르포]
- "상여금 때문에" 통상임금 확대 대기업이 타격 더 컸다
- ‘6만전자’도 힘겨운데…외인 3268억원 쓸어담은 이유는
- 개 700마리 가두고 ‘홀로 대피한’ 주인 나타나 한 말
- '내 아이의 사생활' 윤후·준수 "내 첫사랑은 지아"
- 역대 최악의 산불로 서울면적 80% 4.7만㏊ 숲 잿더미(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