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산불 피해 경북 1위…서울시 1.46배 산림 불탔다

이성원 2025. 3. 30. 13: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역대 최악의 산불이 발생한 경북 지역이 지난 30년간 산불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가 가장 컸던 것으로 집계됐다.

산불 피해 면적이 가장 큰 해는 강원 동해안 산불이 발생했던 2000년이었다.

경북 지역이 올해를 제외하고도 인명·재산 측면에서 산불 피해가 가장 컸다.

산불 피해 통계는 경북을 중심으로 올해가 가장 클 것으로 우려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0년간 1만4,000여건 발생…피해면적 약 9만㏊
경북, 산림 면적 넓고 소나무·노인 많아 피해 커
산불 주의 시기... 3월·일요일·오후 2시대
진화율 99%인 경남 산청 산불 현장에 30일 산림청이 헬기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뉴스1

역대 최악의 산불이 발생한 경북 지역이 지난 30년간 산불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가 가장 컸던 것으로 집계됐다.

3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공개된 '산불피해 현황'을 보면 1995년부터 작년까지 전국 산불 발생 건수는 1만4,486건이고, 불에 탄 면적(피해 면적)은 8만8,413헥타르(㏊)였다. 서울시(6만523㏊)의 1.46배 크기다. 같은 기간 산불에 따른 사망자는 총 240명이고, 재산 피해는 2조4,519억 원에 이르렀다.

산불 피해 면적이 가장 큰 해는 강원 동해안 산불이 발생했던 2000년이었다. 2만5,607㏊가 탔고 652억 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2위는 2022년으로 2만4,797㏊가 탔고 1조3,463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경북 울진, 강원 삼척·강릉·동해 등에서 잇따라 산불이 나면서 재산 피해로는 역대 1위로 기록됐다.

경북 지역이 올해를 제외하고도 인명·재산 측면에서 산불 피해가 가장 컸다. 경북은 다른 지역보다 산림의 면적 비율이 넓고, 불에 잘 붙는 소나무가 많으며, 노인이 많아 초기 대응이 어렵다는 분석이 많다. 지난 30년 동안 경북의 산불 사망자는 43명으로 가장 많았고, 2위는 경기(33명), 충남(30명), 전북(29명)이었다. 재산 피해도 경북(1조2,141억 원)이 가장 심했고, 다음은 강원(7,328억 원)이었다. 피해 면적 기준으론 강원(4만2,127㏊)이 가장 넓었고, 경북은 2만4,740㏊로 그 뒤를 이었다.

산불 피해 통계는 경북을 중심으로 올해가 가장 클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 29일 기준 산불로 경북 의성·안동 등 5개 시·군에서만 26명이 사망했고, 경남 산청·하동에서도 4명이 사망했다. 지난 30년간 산불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해(1995년·25명)를 이미 넘어섰다.

산불을 가장 주의해야 할 시기는 3월·일요일·오후 2시대였다. 불이 가장 많이 난 달은 3월로 138건이었고, 요일은 일요일이 91건, 시간별로 보면 오후 2시대가 84.3건으로 가장 취약했다.

세종= 이성원 기자 support@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