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하동 산불, 213시간만에 큰 불길 잡혀(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산청·하동 산불이 발생 213시간 만인 30일 오후 큰 불길이 모두 잡혔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날 오후 산불현장에서 열린 긴급브리핑을 통해 "산청과 하동 일대의 모든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산림청장은 경북 7개 시·군의 주불진화를 마친 28일 오후 5시부터 다시 산청·하동 산불현장의 통합지휘를 맡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1일부터 10일간 이어져…사상자 14명에 산림피해1858㏊
현장인 지리산 일대 두꺼운 낙엽층·임도 없어 진화 어려움
[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경남 산청·하동 산불이 발생 213시간 만인 30일 오후 큰 불길이 모두 잡혔다.
이 산불은 발생한 당일인 21일부터 산불영향구역이 100㏊ 이상으로 확산, 산청군수에서 곧바로 경남지사로 지휘체계가 변화했다. 이후 23일부터는 산불영향구역이 1000㏊가 넘으면서 산림청장이 현장통합지휘로 넘어갔다. 그러나 당시 경북 의성 산불이 더 심각하다고 판단, 산림청장은 의성을 현장지휘하고, 경남 산청·하동 산불은 관련 규정에 따라 경남지사에게 위임했다.
산불진화는 경남도 주관으로 산림청과 산청·하동군, 소방, 경찰, 국방부, 기상청, 국가유산청, 국립공원공단, 산림조합 등이 협력해 진화작업에 동참했다. 산림청장은 경북 7개 시·군의 주불진화를 마친 28일 오후 5시부터 다시 산청·하동 산불현장의 통합지휘를 맡았다. 산불이 처음 발생한 이곳은 지리산 자락으로 알려졌다.
지난 21일 산불 발생 당시 현장에는 초속 13.4m에 이르는 강한 바람 때문에 매우 빠르게 확산됐으며, 이튿날인 22일부터는 다른 능선으로 비화(飛火)해 하동까지 영향을 미쳤다. 산불 진화가 늦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현지 특성상 두꺼운 활엽수 낙엽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산불진화헬기가 많은 물을 투하했지만 불이 낙엽층 아래에 있어 꺼진 산불이 다시 되살아 나는 일이 반복됐다.
또 산불 현장은 해발 900m의 높은 봉우리에 위치해 접근을 위해 필요한 임도가 없고, 진화대원의 이동을 막는 활엽수 낙엽층과 밀도가 높은 작은 나무와 풀들로 인해 진화인력의 현장 투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산불로 인한 연기와 안개가 섞인 연무도 헬기 운영에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이날 임 청장은 “이번 산불 진화에 도움을 준 경남도, 산청·하동군, 소방, 경찰, 국방부, 기상청, 국가유산청, 국립공원공단, 산림조합 등 많은 기관과 단체에 감사하다”며 “무엇보다 산불진화헬기 조종사와 정비사, 공중진화대, 산불재난특수진화대,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소방관·군인을 비롯해 현장에서 산불진화작업을 수행한 모든 분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주불 진화가 완료됨에 따라 지자체 중심의 잔불진화 체계로 변경한다”며 “봄철 산불대책기간인 5월까지 전국의 지자체, 유관기관과 함께 산불예방과 대응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4명, 중·경상 10명 등 모두 14명이다
박진환 (pow17@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與주장 '이재명 파기자판' 불가능..2심 무죄→형확정 전무
- '월세 1억3000만원' 내는 BTS 제이홉…부동산 투자 보니[누구집]
- 사라진 치매 노인…수백 개 CCTV서 1초 만에 찾았다[AI침투보고서]
- "실험적인 맛" 삼양 비빔면은 다르네…'민초단' 저격 나섰다[먹어보고서]
- 개 700마리 가두고 ‘홀로 대피한’ 주인 나타나 한 말
- 문 손잡이 꼭 잡은 채 발견된 숨진 독거노인...산불 현장
- 공매도 D-1, 불법 거래 어떻게 막나…“99% 적발 가능”
- ‘6만전자’도 힘겨운데…외인 3268억원 쓸어담은 이유는
- ‘발동 걸린’ 이정후, 두 번째 경기서 첫 안타·타점·도루 기록
- ‘배준호 선제골·양민혁 데뷔골’ 코리안 더비, 뜨겁게 타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