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박3일도 가능' 한국인들 '이 나라' 즐겨 찾더니…희소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항공사들이 여행 수요가 높은 중국과 일본 노선 운항편을 확대한다.
29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기간(3월30일∼10월25일) 항공사들이 국내 공항에서 운항하는 중국·일본 노선은 지난해(115개)보다 13개 늘어난 128개다.
현재 여객편을 운항하는 10개 항공사 중 장거리 노선 중심인 에어프레미아를 제외한 모든 항공사가 중국 또는 일본 노선에서 증편하거나 신규 취항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항공사들이 여행 수요가 높은 중국과 일본 노선 운항편을 확대한다. 고물가·고환율에 비용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두 국가에 여행객이 몰릴 것으로 기대되면서 높은 탑승률을 바탕으로 수익성을 끌어올리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9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기간(3월30일∼10월25일) 항공사들이 국내 공항에서 운항하는 중국·일본 노선은 지난해(115개)보다 13개 늘어난 128개다. 현재 여객편을 운항하는 10개 항공사 중 장거리 노선 중심인 에어프레미아를 제외한 모든 항공사가 중국 또는 일본 노선에서 증편하거나 신규 취항한다.
대한항공은 작년 말 취항한 인천∼푸저우 노선을 기존 주 3회에서 주 4회로 1회 운항을 확대한다. 대한항공은 올해 하계 기간 중국 노선에서 주당 195회 운행하면서 2019년 수준의 약 90%를 회복했다.
일본 노선은 다음 달 18일 인천∼고베 노선에 신규 취항해 주 2회 운항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날부터 인천발 충칭, 청두 노선에 취항해 주 7회(매일) 항공편을 띄운다. 인천∼다롄 노선은 주 7회에서 10회로, 인천∼옌지 노선은 주 5회에서 7회로 운항을 확대했다가 다음 달 28일부터는 8회로 더 늘린다. 인천∼창춘은 주 4회에서 9회로, 인천∼창사는 주 4회에서 5회로 증편한다.
제주항공은 중국 하늘길 중 제주발 시안, 홍콩 노선에서 주 2회로 운항을 재개한다. 인천발 오사카 노선은 작년 하계 스케줄 기간 주 22∼27회 운항에서 올해 28회로 늘렸다. 인천발 마쓰야마 노선은 주 7회에서 14회로 2배 늘렸다.
티웨이항공은 다음 달 21일과 22일 중국 옌지로 향하는 청주발, 대구발 주 3회 노선에 각각 취항한다. 5월22일부터는 인천발 우한 노선에도 주 3회 항공편을 띄운다.
진에어는 다음 달 3일 인천발 일본 이시가키지마에 주 5회 일정으로 단독 취항한다. 부산∼나고야, 후쿠오카는 주 7회 운항을 재개한다.
에어부산은 부산발 중국 옌지 노선을 주 3회에서 6회로 증편하고, 장자제 노선은 주 4회에서 6회로 확대한다. 부산∼시안 노선은 주 2회 재운항한다.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동계 시즌 운항하지 않았던 제주∼상하이 노선을 주 7회, 청주∼장자제 주 4회 다시 운항한다.
에어로케이는 청주발 중국 쿤밍·청두·황산, 오르도스 등 노선과 일본 이바라키, 오비히로, 기타큐슈, 시즈오카 등 소도시 노선 등에 항공편을 띄운다. 인천에서는 대도시인 도쿄·오사카 중심으로 운항한다.
에어서울은 오는 31일 인천발 요나고행 단독 노선을 주 3회에서 5회로 증편한다. 항공업계에서는 물가와 환율 부담이 비교적 낮은 중국과 일본의 인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국제선 승객 출발·도착지 중 일본(2514만명)은 28.3%를, 중국(1377만명)은 15.5%를 차지하며 개별 국가 중 1, 2위였다.
업계에 따르면 일본은 작년 말 엔저 효과가 사라졌지만, 소도시를 찾는 여행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또한 중국은 지난해 11월 무비자 정책 시행 이후 한국인 여행객이 크게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과 중국 등 단거리 여행지는 비행시간이 비교적 짧아 3일 이내의 단기 여행 수요도 높은 편으로 언제든지 떠날 수 있는 셈"이라며 "일본 소도시 중심 재방문 수요와 무비자 정책으로 여행경비 절감 효과가 있는 중국행 수요는 올해도 크게 줄지 않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車 대기표 뽑고 1년 넘게 기다렸는데…악몽 재현되나 '초비상' [김인엽의 매크로 디코드]
- 요즘 일본 여행 안 간다더니…"주말이 절정" 난리 난 이유
- 사흘간 80% 폭등했는데…"폭탄 언제 터질지 몰라" 경고 [종목+]
- 주가 반토막에도 "팔지 마라"…밤9시 전직원에 '신신당부' [백수전의 '테슬람이 간다']
- "진짜 미쳤다" 아이돌 '10억 기부'에…놀라운 일 벌어졌다 [연계소문]
- "중독성 있는 맛집" 알고보니…진짜 '마약' 넣은 식당에 발칵
- 주가 반토막에도 "팔지 마라"…밤9시 전직원에 '신신당부' [백수전의 '테슬람이 간다']
- 故 김새론 괴롭힌 7억 빚…"김수현 소속사에 사기당해"
- [속보] 경북지사 "도민 27만명에 1인당 30만원 긴급재난지원금 지원"
- "너무 비싸고 먹을 아이도 없어요"…서울우유, 결국 '중대 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