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팔 끓여도 안 죽네…봄철, 배달음식 잘못 먹으면 큰일 난다

김현정 2025. 3. 29. 16: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봄철 배달 음식을 먹고 '퍼프린젠스 식중독'에 걸리는 경우가 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주의를 당부했다.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은 "대량으로 조리하는 배달 음식은 취급에 부주의한 경우 집단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식재료 준비와 조리·보관·운반 등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퍼프린젠스균, 가열해도 사라지지 않아
조리 후 상온 방치 말고 즉시 섭취해야

봄철 배달 음식을 먹고 '퍼프린젠스 식중독'에 걸리는 경우가 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계없음. 게티이미지뱅크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균은 육류를 주원료로 하는 조리식품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 균은 열에 강한 '아포'를 만들어 살아남기 때문에 충분히 끓인 음식이라도 균이 사라지지 않는다. 아포는 퍼프린젠스균 등 특정 세균이 고온, 건조 등 생존이 어려운 환경에서 만들어 내는 것으로, 아포 형태로 휴면상태를 유지하다가 세균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깨어나 증식, 독소를 만들어낸다.

기온이 상승하는 3~5월에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에 의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다. 최근 3년간 배달 음식으로 인한 퍼프린젠스 식중독 발생 건수와 환자 수를 보면 ▲2022년 4건(264명) ▲2023년 3건(106명) ▲2024년(425명)이었다. 이 균에 의한 식중독은 음식점과 집단급식소에서도 많이 발생하므로 식품접객업소의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음식점, 집단급식소에서는 반찬인 고기찜, 돼지고기볶음 등 육류 요리와 김밥을 대량으로 조리한 뒤 보관 방법과 온도를 준수하고 손님에게 즉시 제공해야 한다.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봄철 도시락, 김밥 등 배달 음식으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서울 중구 식품안전정보원에서 배달 음식 프랜차이즈 업체와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당부했다. 식약처는 대량조리음식 식중독 예방요령으로 ▲육류 등은 중심온도 75℃(어패류는 85℃로 1분 이상 완전히 익히기 ▲가열 조리 후 신속히 냉각해 여러 용기에 나눠 담기 ▲보관온도 유지(따뜻한 음식은 60℃ 이상, 차가운 음식은 5℃ 이하로 보관) ▲보관된 음식 섭취 시 75℃ 이상에서 충분히 재가열해 섭취 ▲조리된 상태로 상온에 방치하지 않고 조리 후 즉시 제공 등을 알렸다.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은 "대량으로 조리하는 배달 음식은 취급에 부주의한 경우 집단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식재료 준비와 조리·보관·운반 등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