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사태에도 정신 못차린 불법소각 ‘기승’…지자체 강력 대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남권 대형산불에도 여전히 일부 지역에선 봄철 영농 부산물이나 폐기물 등을 불법 소각하는 행위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1일 대형산불이 발생한 산청과 맞붙은 경남 서부권역 한 지자체 소속 산림부서 관계자는 "산청 산불 이후에도 불법 소각 행위가 여러 건 발생했다"고 29일 밝혔다.
경남 지자체들은 본격적인 영농 준비가 이뤄지는 청명(4월 5일)·한식(4월 6일)을 앞두고 불법 소각 등 산불 발생 요인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남권 대형산불에도 여전히 일부 지역에선 봄철 영농 부산물이나 폐기물 등을 불법 소각하는 행위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자체들은 당분간 산불 발생 요인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특별대책 수립에 나섰다.
지난 21일 대형산불이 발생한 산청과 맞붙은 경남 서부권역 한 지자체 소속 산림부서 관계자는 "산청 산불 이후에도 불법 소각 행위가 여러 건 발생했다"고 29일 밝혔다. 밀양시는 이달 후반부 들어서만 쓰레기 또는 고춧대 등을 불법 소각한 행위 3건을 적발하고 과태료를 부과했다.
산림보호법에 따르면 산림 및 산림 인접 지역에서 불을 피운 사람에게는 1차 30만 원, 2차 40만 원, 3차 5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실수로 산불을 발생하게만 해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되고, 고의로 산불을 내면 최고 15년의 징역에 처할 수 있다.
경남 지자체들은 본격적인 영농 준비가 이뤄지는 청명(4월 5일)·한식(4월 6일)을 앞두고 불법 소각 등 산불 발생 요인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매년 청명·한식 전후로는 등산객·상춘객, 성묘·식목 활동 등이 급증하고 본격적인 영농 준비가 이뤄지면서 논두렁 등 소각 행위가 성행하는 추세를 보인다. 최근 10년간 전국에서 청명·한식기간 발생한 산불은 총 11건으로, 이로 인해 2873여㏊ 상당의 산림이 탔다. 원인은 소각 산불(27.3%), 입산자 실화(18.2%), 전기적 요인(18.2%), 성묘객 실화(9.1%) 순이다.
경남 지자체들은 주·야간 산불감시 사각 지역을 집중 감시하기 위한 산불드론감시단을 운용하고, 야간 산불 대비 신속대기조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할 방침이다. 강원 춘천시는 산림과 인접 지역 내 소각 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기로 했다. 경남 및 경북 지역 대형산불로 인해 산불 발생이 높은 상황인 만큼 춘천시는 산불 감시 인력을 배치해 소각 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을 벌이고 있다.
이현욱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산불 인명피해 70명으로 증가…안동 이어 의성도 산불 재발화…헬기 6대 긴급 투입
- 3500만 구독자 ‘중국 쯔양’ 알고 보니 여장남자
- “사랑해요” 전화통화가 마지막…순직 헬기 조종사 아내 오열
- [속보]미얀마 “강진으로 144명 사망, 732명 부상”…태국선 공사중 30층 건물 붕괴
- 이준석, 산불피해에 “깔끔하게 전소” 말실수…허은아 “감수성 실종” 비판
- “옷 다 벗고”…김수현, 17세 김새론에 보낸 카톡
- 박주민 “헌재재판관 한두 분 자료요청도 없이 시간 끌고 있다고…”
- ‘미얀마 7.7 강진’ 대규모 사상자 발생…미얀마 다리 붕괴·태국 방콕 빌딩 붕괴
- “미역국에 김치” 6시간 불 끄고 온 소방관의 밥상
- 이상인 아들, 母 눈찌르고 제작진 때려…오은영 눈물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