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미뤄진 尹 탄핵심판 선고...“버티기 어렵다” 헌재 인근 상인들 임계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번주에는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날 것 같아 기대했는데 결국 또 미뤄졌네요. 하루하루 버티기가 진짜 쉽지 않습니다."
28일 기자가 찾아간 헌재 인근 한 카페 사장은 "시위 이전과 비교해 매출이 반 정도 줄어 타격이 크다"고 했고, 한 베이커리 가게 주인은 "한옥거리는 관광객이 대부분인데 관광객이 못 들어오고 있으니 가게를 열어놔도 손님이 없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찬반집회 지속에 상인들 ‘울상’
연일 집회 소음에 심신도 지쳐
이번 주말 서울 집회 32만명 신고
헌법재판소 인근 한 제과점에서 일하는 차윤호 씨(30)는 연일 가게 앞에서 벌어지는 시위에 골치가 아프다. 지난 1월 매장을 열었는데 오픈 일주일 만에 헌재 앞에서 시위가 시작되면서 속칭 ‘개업 효과’도 누리지 못했다. 한발 더 나아가 얼마 뒤 가게 바로 앞에 차벽까지 세워지면서 매출이 반 토막 났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 지정이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고 탄핵 찬반 시위도 장기화하면서 헌재 인근 상인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28일 기자가 찾아간 헌재 인근 한 카페 사장은 “시위 이전과 비교해 매출이 반 정도 줄어 타격이 크다”고 했고, 한 베이커리 가게 주인은 “한옥거리는 관광객이 대부분인데 관광객이 못 들어오고 있으니 가게를 열어놔도 손님이 없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헌재 인근 상인들은 지속되는 시위에서 유발되는 소음에 건강 이상을 호소하기도 했다. 디저트 판매점에서 일하는 김 모씨는 “하루 종일 쉬지 않고 시위 소리를 들으니 이석증까지 생겼다”고 했다.
날이 갈수록 과격해지는 시위에 시위 참여자와 직접 대치하는 일도 많아졌다. 헌재 주변에서 가게를 운영하고 있는 50대 박 모씨는 “시위 참여자들에게 가게 앞에서 비켜달라고 말하거나 조금만 눈살을 찌푸려도 ‘중국인이냐’ ‘극우세력이냐’며 공격한다”고 토로했다.
이번 주말에도 헌재 인근 등 서울 도심권에서 대규모 집회가 이어지면서 주말 교통 혼잡이 예상된다. 탄핵 찬성 측 퇴진비상행동(광화문 동십자각)은 10만명을, 탄핵 반대 측 대한민국바로세우기운동본부(광화문광장)는 20만명을, 세이브코리아(여의도)는 2만명을 신고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여객기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아시아나 인천행 15시간 지연 - 매일경제
- [현장] “다 제 잘못, 잔칫날 죄송해”…결국 고개 숙인 백종원 - 매일경제
- ‘동고동락’ 멤버인데…김종민 결혼식 때 축가 안한다는 코요태, 왜? - 매일경제
- 남녀가 나체로 몸 씻겨주던 ‘혼욕의 나라’...대중 목욕탕 90%가 사라졌다는데 [한중일 톺아보기
- “여보, 이제 밥 안 해도 되겠네”…조∙중식 서비스 제공 아파트 ‘인기’ - 매일경제
- “사망자 1000명 넘을 가능성 높다”...중국·태국까지 흔든 미얀마 강진 - 매일경제
- 故 설리 유족 “김수현 형제, 왜 베드신 강요했나” - 매일경제
- 주한미군 헬기도 동원했지만...지리산 산불, 일몰 전 주불 진화 실패 - 매일경제
- [속보] 경찰, ‘성폭행 혐의 피소’ 장제원 전 의원 오늘 소환조사 - 매일경제
- ‘GOAT 라이벌’ 르브론, 조던을 언급하며 코비를 떠올리다…“좋은 관계, 그러나 대화는 나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