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의료 대란에 ‘암 수술 지연’ 첫 확인…‘피해조사’ 입법 추진
[앵커]
암은 다른 곳으로 퍼지기 전에 최대한 빨리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지난해 초부터 이어진 의료 공백으로 암 수술이 지연되고 있는 사실이 통계로 입증됐습니다.
정연욱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1월 식도암 3기 진단을 받은 환자.
대형병원마다 예약이 밀려 아직 수술 날짜도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식도암 3기 환자/음성변조 : "지금도 여전히 불안한 상태이긴 해요. 전이가 빠르다고 하니. 아직 항암 치료도 못 받고 기다리는 상태여서…."]
지난해 2월 전공의 이탈로 의료 공백이 시작된 이후 12월 말까지, 7가지 주요 암의 경우 진단부터 수술까지 30일 넘게 걸린 환자 비율은 50%에 육박했습니다.
2023년에 비해 9%p가까이 늘었습니다.
상급종합병원으로 한정하면 10%p가 증가했습니다.
특히 유방암과 위암, 대장암 환자의 대기 기간이 크게 늘었고, 주요 암 전체 환자의 평균 대기 기간도 2023년보다 5.3일 늘었습니다.
의료 공백으로 암 수술이 지연되는 추세가 수치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암 환자가 한 달 넘게 수술을 기다리면 사망률이 2배 가까이 높아집니다.
[윤영호/서울의대 가정의학과 교수 : "암세포의 전이가 급속히 이뤄지기 때문에, 한 달 내에 적절한 병원에서 수술을 받는 것이 환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지난해 7가지 주요 암 수술 건수도 2023년에 비해 7%가량 줄었습니다.
이런 환자 피해를 정부가 의무적으로 조사해서 공개하도록 규정한 법안이 국회에서 발의됐습니다.
[김윤/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이 법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의료 대란에서의 환자 피해를 밝혀야 된다, 그래야 제대로 된 대책도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은 지난달 KBS와의 인터뷰에서 의료 공백으로 빚어진 환자 피해는 정부의 미봉책 때문이라며 책임을 돌렸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149시간 만에 역대 최악 산불 ‘주불 진화’…“위험 여전, 긴장감 유지”
- “하늘이 도왔다”…천금 같은 비 ‘1mm’
- “폭격 맞은 듯”…산불에 무너져 내린 마을들
- [단독] 의료 대란에 ‘암 수술 지연’ 첫 확인…‘피해조사’ 입법 추진
- “사방에서 용암 같은 불이”…제보로 본 산불의 위력
- 재난문자 쏟아져도 미확인 메시지 ‘수두룩’…“볼 줄 몰라요”
- “불에 녹는 장비 착용”…부실 장비 ‘위험천만’
- 불길 잡았지만…‘대피소 전전’에 ‘스티로폼 쪽잠’까지
- 미얀마에 7.7 강진…방콕에서도 고층 빌딩 ‘와르르’
- “김정일은 멍청”…30년 전에도 민감국가 해제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