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신만고 끝에 연금개혁 했지만… 반대 41% 찬성 38%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야 합의로 통과시킨 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해 국민들의 찬반 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대 간 형평성 논란이 커지면서 20·30대에선 60%가 반대했다.
통계적으로는 찬성과 반대의 우위 여부를 가릴 수 없을 정도로 의견 대립이 심한 상황인 것이다.
40대는 찬반이 각각 41%, 44%로 팽팽했으며 50대는 48%가 찬성, 35%가 반대해 찬성이 우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8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25~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8%는 찬성, 41%는 반대했다. 22%는 의견을 유보했다. 통계적으로는 찬성과 반대의 우위 여부를 가릴 수 없을 정도로 의견 대립이 심한 상황인 것이다.
특히 세대별 의견 차이가 뚜렷했다. 앞으로 남은 의무가입 연한이 상대적으로 긴 20·30대에서는 각각 58%, 64%가 반대했다. 찬성은 각각 15%, 26%에 불과했다. 40대는 찬반이 각각 41%, 44%로 팽팽했으며 50대는 48%가 찬성, 35%가 반대해 찬성이 우세했다.
여야는 지난 20일 보험료율을 현행 월소득 9%에서 13%로, 소득대체율은 43%로 상향하는 내용을 담은 연금개혁안을 국회에서 통과시킨 바 있다.
그러나 인구구조와 경제 여건 변화를 반영해 자동으로 연금 수급액을 조정하는 자동조정장치 등 구조 개혁은 아직 합의가 난망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젊은층을 중심으로 이번 연금개혁을 졸속 합의라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불거졌다.
이번 조사 방식은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3%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고하면 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현장] “다 제 잘못, 잔칫날 죄송해”…결국 고개 숙인 백종원 - 매일경제
- “여객기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아시아나 인천행 15시간 지연 - 매일경제
- “여보, 이제 밥 안 해도 되겠네”…조∙중식 서비스 제공 아파트 ‘인기’ - 매일경제
- [속보] 방콕 경찰 “건설 중 고층빌딩 강진에 붕괴…사상자 파악 안돼” - 매일경제
- ‘동고동락’ 멤버인데…김종민 결혼식 때 축가 안한다는 코요태, 왜? - 매일경제
- “큰 거 온다” 국내 증시 1%대 급락…코스피 2600·코스닥 700선 붕괴 - 매일경제
- “반갑다 비야”...대형산불 완진 이끈 자연, 조기진화 서포트한 ‘임도’ - 매일경제
- 민주당 초선의원 “한덕수, 30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하면 재탄핵” - 매일경제
- 남녀가 나체로 몸 씻겨주던 ‘혼욕의 나라’...대중 목욕탕 90%가 사라졌다는데 [한중일 톺아보기
- ‘GOAT 라이벌’ 르브론, 조던을 언급하며 코비를 떠올리다…“좋은 관계, 그러나 대화는 나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