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단 전공의대표, 복귀 의대생들에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김현정 2025. 3. 28. 18: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겸 대한의사협회 부회장이 복귀 의대생들에게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라고 일갈했다.

이어 박 위원장은 "처단.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 등록 후 수업 거부를 하면 제적에서 자유로운 건 맞나"고 물으면서 "저쪽이 원하는 건 결국 굴종 아닌가"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쪽이 원하는 건 굴종…주저앉을 때 아냐"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겸 대한의사협회 부회장이 복귀 의대생들에게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라고 일갈했다.

박 위원장은 2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양자택일 : 미등록 휴학, 혹은 복학'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을 올렸다. 그는 "연세대는 등록 후 수업에 성실히 참여한다는 각서를 받고 있고, 고려대는 복학 원서 작성 후 철회 시 자퇴로 처리한다고 한다"는 최근 상황을 전하는 말로 글을 시작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대학은 일 년 내내 고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자유 선택을 존중한다던 교수는 사실상 위계를 이용해 찍어누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대위원장 겸 대한의사협회 부회장. 조용준 기자

이어 박 위원장은 "처단.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 등록 후 수업 거부를 하면 제적에서 자유로운 건 맞나"고 물으면서 "저쪽이 원하는 건 결국 굴종 아닌가"라고 말했다. 또 "죽거나 살거나, 선택지는 둘뿐. 학교가 나서서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는데 왜"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그는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는 말로 글을 맺었다.

박 위원장은 해당 게시물에 고려대 의대에서 복귀를 원하는 의대생을 대상으로 면담이 이어지고 있다는 기사 링크를 공유하기도 했다.

한편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의대 학생들은 동맹 휴학을 철회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서울대 의대 학생들은 등록 마감일인 27일 일제히 1학기 등록을 하기로 방침을 정했고, 연세대 의대생들도 '등록 거부'에서 '등록 후 휴학'으로 방침을 바꿨다. 고려대 의대생들은 전체의 80% 이상이 등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또 복귀시한이 이미 지난 타 의대들도 데드라인을 연장하는 등 학생들의 복귀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