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 ①증권사 대표 성과급 최대 20억…"현금 수령액은 제각각"

이지운 기자 2025. 3. 28. 1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4년 사업보고서를 통해 주요 증권사 경영진과 직원들의 연봉과 성과급 내역이 공개됐다.

지난해 증권업계는 해외주식 거래 증가 등으로 실적이 개선되며 성과급을 두둑하게 챙긴 CEO들이 속속 등장했다.

28일 국내 주요 증권사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는 지난해 12억5700만원의 상여금을 수령하며 현금 기준으로 전체 CEO(최고경영자) 중 가장 많은 성과급을 받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대실적 증권사, 엇갈린 보상] 증권사별 성과평가·보상방식 차이
[편집자주] 2024년 사업보고서를 통해 주요 증권사 경영진과 직원들의 연봉과 성과급 내역이 공개됐다. 지난해 증권업계는 해외주식 거래 증가 등으로 실적이 개선되며 성과급을 두둑하게 챙긴 CEO들이 속속 등장했다. 다만 실적 부진이나 이연분 축소 등의 영향으로 보수가 줄어든 사례도 적지 않았는데 이들보다 더 많은 보수를 받은 '연봉킹' 직원도 눈에 띈다. 실적과 성과가 직결되는 증권업계 특성상 보상 구조와 이연성과급 제도의 영향력도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증권사 대표이사들이 수령한 성과급 규모가 공개됐다.
주요 증권사 경영진과 직원들의 연봉과 성과급 내역이 공개되면서 이들의 수령액에 관심이 모인다. 지난해 증권사 대표이사들이 수령한 성과급이 최대 20억원을 넘긴 경우도 있었지만 증권사별 성과평가 기준과 보상방식 차이에 따라 대표들의 실제 상여금 규모는 격차가 적지 않았다.

28일 국내 주요 증권사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는 지난해 12억5700만원의 상여금을 수령하며 현금 기준으로 전체 CEO(최고경영자) 중 가장 많은 성과급을 받았다. 윤 대표는 2023년 순영업수익 3582억원, 경상이익 2394억원을 기록한 실적을 바탕으로 즉시 지급분과 과거 이연분을 합산해 이 같은 금액을 수령했다.

양홍석 대신증권 부회장은 총 20억1000만원을 수령해 총액 기준으로는 가장 많았지만, 이 중 약 16억원이 주식으로 이연된 장기성과급으로 구성돼 실제 현금 수령액은 4억원대다. 이연성과급 제도로 과거 성과에 대한 보상이 몰려 지급되면서 수령한 성과급 총액이 커진 사례다.

이 제도는 과급의 일정 비율을 바로 지급하지 않고 2~3년에 걸쳐 나눠 지급하는 방식으로 단기 실적보다는 성과의 지속성과 장기 성과를 확인한 뒤 보상하는 구조다. 예컨대 2021년에 우수한 실적을 냈더라도 이에 대한 보상의 일부는 2024년에 지급하는 식이다.

증권사 일부에선 이연 성과급을 주식으로 지급하거나 주가·ROE(자기자본이익률)·TSR(총주주수익률) 등 장기성과 지표에 따라 금액을 확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윤리 위반 시 지급 취소 또는 환수 조치도 가능하다.

/그래픽=김은옥 기자
김성현 KB증권 대표는 10억1300만원, 박종문 삼성증권 대표는 8억2900만원의 상여금을 받으며 뒤이었다. 김성현 대표는 받은 성과급의 절반가량이 이연분으로 구성됐고, 윤병운 대표 역시 전체 12억원 중 7억원 이상이 과거 성과에 대한 보상이었다.

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부회장(3억4700만원)과 김미섭 부회장(2억4400만원)도 각각 글로벌 사업 성과와 지속가능경영 지표 등에 따라 억대 성과급을 가져갔다.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대표는 총 3억4711만원의 상여금을 수령했다. 이 가운데 1억2243만원은 2023년 실적에 따른 성과급이며, 2020~2022년 성과에 대한 이연 보상금은 총 2억1032만원에 달한다.

반면 약 1300억원 규모의 ETF(상장지수펀드) 손실 사고가 불거진 뒤 대표직에서 물러난 김상태 신한투자증권 전 대표는 성과급 9500만 원을 수령했다. 장기성과급(PS)은 지급 시점이 도래하기 전에 퇴임하면서 제외됐다. 엄주성 키움증권 대표는 1억4236만원을 수령했다.

이외에도 ▲오익근 대신증권 대표 4억1800만원 ▲박봉권·이석기 교보증권 대표가 각각 5억2100만원, 5억2700만원 ▲김원규 LS증권 대표 4억8600만원 ▲한두희 한화투자증권 대표 2억900만원으로 나타났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성과급이 커 보이더라도 단순히 실적에 따라 좌우된다고 해석하긴 어렵다"며 "성과 시점과 보상 시점이 어긋나는 만큼, 제도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지운 기자 lee1019@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