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만 골라 죽인다…부작용 줄인 나노 항암제 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만을 정확히 골라 제거하는 새로운 나노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김원종 포항공과대 화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진이 암세포의 핵심 단백질만 제거하는 '표적 단백질 분해(TPD)' 기술을 나노입자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나노입자는 암세포에 효과적으로 모여 표적 단백질을 분해함으로써 강력한 항암 효과를 보였으며, 정상 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아 부작용을 최소화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상 세포에는 영향 주지 않아 부작용 적어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만을 정확히 골라 제거하는 새로운 나노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김원종 포항공과대 화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진이 암세포의 핵심 단백질만 제거하는 ‘표적 단백질 분해(TPD)’ 기술을 나노입자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ACS 나노(ACS Nano)에 게재됐다.
기존 항암제는 암세포에 필요한 단백질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막아 암을 억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암세포가 약물에 대한 내성을 갖거나 다른 경로로 재발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문제 단백질을 일시적으로 막는 방식이 대신 아예 세포 안에서 제거해 버리는 TPD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다만 기존의 TPD 치료제는 물에 잘 녹지 않고, 체내에서 빠르게 사라지는 탓에 치료 효과가 떨어졌고, 암세포가 아닌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부작용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을 싫어하는 성질(소수성)과 물을 좋아하는 성질(친수성)을 지닌 고분자를 결합해, 물속에서 작은 공 모양 형태의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이 나노입자는 혈액 속에서 안정적으로 떠다니다가, 종양세포 주변 특정 환경에서만 활성화되도록 설계됐다.
이 나노입자는 암세포의 단백질을 없애는 데 두 가지 작동 방식을 동시에 사용한다. 하나는 단백질을 직접 잘게 분해하는 방식, 다른 하나는 세포 스스로 필요 없는 성분을 정리하는 작용을 이용했다. 이렇게 두 방식이 함께 작동하면서 암세포 안의 핵심 단백질을 더 강력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전립선암에 걸린 동물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에서도 효과가 확인됐다. 나노입자는 암세포에 효과적으로 모여 표적 단백질을 분해함으로써 강력한 항암 효과를 보였으며, 정상 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아 부작용을 최소화했다.
김원종 교수는 “표적 단백질에 결합하는 부분만 바꾸면 전립선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과 질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며 “이는 환자 맞춤형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참고 자료
ACS Nano(2025), DOI : https://doi.org/10.1021/acsnano.4c12747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문화재·코로나19·면세점… 14년 발목 잡힌 호텔신라 한옥호텔
- 美 판매 감소에 대비… 현대차, 국내 판매량 목표치 상향
- 모회사 금양 거래정지 불똥 튄 에스엠랩… 1000억 투자한 VC도 골머리
- 올해도 잘 나가는 쏘렌토… 카니발·스포티지 등 기아 ‘독주’
- ‘입주 후 5년’ 지났지만, 아직 살아 있는 재건축 조합… 서초구가 직접 청산 나선다
- “백종원처럼 사과하라” DS단석, 주가 80% 폭락에도 배당은 ‘0원’...주주들 부글부글
- 美 제재로 中 선박 주문 취소 현실화… 韓 조선엔 호재
- [단독] 게임업체 S사 男 직원, 승강기서 女 동료 신체 찍어 입건… “불법 촬영물 다수 발견”
- [르포] 초고압 변압기 증설 LS일렉… “파워솔루션과 美 공략”
- 마비 환자의 생각, 실시간 전달…18년 만에 목소리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