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는…산업부, 신통상 현안 간담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신통상 현안간담회를 열고 통상 관련 유관·연구기관 및 학계 전문가들과 최근 일방적 보호무역조치 확대, 과잉공급 등 통상질서 변화 동향을 공유하고 대응 방향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선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 동향 및 전망 ▲유럽연합(EU) 통상정책 변화 방향 및 대응방안 ▲신통상라운드테이블 확대 개편 방향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신통상 현안간담회를 열고 통상 관련 유관·연구기관 및 학계 전문가들과 최근 일방적 보호무역조치 확대, 과잉공급 등 통상질서 변화 동향을 공유하고 대응 방향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선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 동향 및 전망 ▲유럽연합(EU) 통상정책 변화 방향 및 대응방안 ▲신통상라운드테이블 확대 개편 방향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간담회에서 발제를 맡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과거 거대 신흥경제권의 비시장적 정부주도 성장정책이 경기 하강기에 과잉공급을 근거로 선진국들이 보호무역 조치를 확대하는 구실과 계기를 제공했다고 의견을 냈다.
다만 최근의 관세조치들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기 보다는 결국 물가상승, 환율 변동성 심화 등을 통해 세계경제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최근 발표된 'EU 옴니버스 패키지' 등을 포함한 EU의 통상정책 변화에 대해 발표했고 산업연구원은 '신통상라운드테이블 확대 개편방향'이란 주제로 통상 현안을 조명했다.
이재근 신통상전략지원관은 "최근 통상환경이 경제안보, 인공지능(AI) 기술발전 등으로 급변하는 가운데, 자국 중심적 통상조치 확산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미국, EU 등의 통상정책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시장별 맞춤형 통상전략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열어갈 수 있도록 통상 유관기관들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산업부는 2021년부터 공급망·디지털·기후 등 신통상 이슈를 주제로 14차례 개최된 '신통상라운드테이블'을 올해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송지은♥' 박위, 두 발로 서서 찍은 웨딩화보 '뭉클'
- 노엘, 父장제원 비보 후 심경 "무너지거나 할 일 없으니…"
- "김수현, 故김새론 고2때 닭도리탕·소주 먹었다" 가세연 또 폭로
- '연예계 은퇴' 소희, ♥15세 연상과 결혼 후 물오른 미모
- 김수현 저격한 故설리 오빠, 전 매니저 소환 "정리할 게 많다"
- '52㎏ 감량' 최준희, 뼈말라 몸매…바비인형 미모
- 김종국, 재산 1000억설 비결 "맨정신에 대장내시경"
- "김수현 기자회견 궤변…카톡 분석도 허접해" 프로파일러 비난
- '길바닥 밥장사' 류수영, 장사 접을 위기…왜?
- 박한별 "남편 버닝썬 논란에 시어머니도 이혼하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