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건설사 늘자 레미콘 업체 매출채권 관리 '비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들어 시공 능력 평가 50∼70위권의 중견 건설사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레미콘 업계의 긴장감도 고조되고 있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건설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자금이 묶여 버리는 상황이라 물품 대금을 변제받지 못하면 자금 경색이 초래된다"며 "영세한 업체의 경우 금융권으로부터 대출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는 조건도 안 되다 보니 자금 경색이 생기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법정관리 돌입시 대금 지급 지연…유동성 악화
리스크 발생시 거래량 줄이는 등 보수적 운영
영세 업체 '직격탄'…"최악의 경우 문 닫을수도"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올해 들어 시공 능력 평가 50∼70위권의 중견 건설사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레미콘 업계의 긴장감도 고조되고 있다.
레미콘을 납품한 시공사가 법정관리에 돌입하면 대금 지급이 지연되면서 자금 유동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레미콘사들은 최근 매출채권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 들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는 건설사들이 늘어나자, 기존 거래처의 여신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등 채권 관리에 나선 것이다.
레미콘 업체들은 2022년부터 이어져 온 건설경기 침체로 수요가 줄고, 건설사들의 자금 사정까지 악화되자 보수적인 경영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건설사들이 늘어나다 보니 대금이 물리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며 "현장에서 대금 지급이 지연된다거나, 자금 사정이 어렵다는 얘기가 들어오는 경우가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레미콘 업체들은 건설사들의 신용등급 변동 사항이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현황 등을 모니터링하며 채권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자금 사정이 악화된 건설사의 경우 거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중이다.
이 관계자는 "리스크가 있는 시공사의 경우 바로 거래를 중단하는 것은 아니지만 점진적으로 거래 규모를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과거에도 레미콘 업계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건설사들의 '줄도산'이 잇따르자, 매출채권 관리에 비상이 걸린 바 있다.
2012년 극동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납품 대금을 받지 못한 레미콘 업체들은 대규모 집회를 열고 대금 변제를 요구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영세 레미콘 업체는 자금 유동성 악화가 곧바로 경영 위기로 이어지는 만큼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건설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자금이 묶여 버리는 상황이라 물품 대금을 변제받지 못하면 자금 경색이 초래된다"며 "영세한 업체의 경우 금융권으로부터 대출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는 조건도 안 되다 보니 자금 경색이 생기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ong1987@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테이, 장제원 사망에 "안타깝다" 한마디 했다가…(종합)
- "故김새론 친구 8명, 김수현과 미성년 교제 알고 있어" 유족 변호사
- 79세 윤복희 "한쪽 눈 실명…다른 쪽도 안 좋아져"
- '송지은♥' 박위, 두 발로 서서 찍은 웨딩화보 '뭉클'
- 노엘, 父장제원 비보 후 심경 "무너지거나 할 일 없으니…"
- 박한별, 남편 버닝썬 논란 후 6년만 복귀 "죽어야 끝나나 싶었다"
- '23세 결혼' 이요원, '남편 재벌설'에 입 열었다
- "김수현, 故김새론 고2때 닭도리탕·소주 먹었다" 가세연 또 폭로
- '연예계 은퇴' 소희, ♥15세 연상과 결혼 후 물오른 미모
- 김수현 저격한 故설리 오빠, 전 매니저 소환 "정리할 게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