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 많은 소변, '급성심정지' 신호일수도?...2030 주의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젊은 층에서 발생하는 '급성 심정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 국내에서 20~30대 젊은 층도 소변에서 단백뇨가 발견되면 급성 심정지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교수 연구팀은 2009∼2012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39세(평균 나이 30.9세) 634만5천162명을 대상으로 평균 9.4년을 추적 분석한 결과 소변 내 단백뇨와 급성 심정지 발생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6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주미 기자 ]
젊은 층에서 발생하는 '급성 심정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외신에 따르면 영국에서 32세 남성이 평소처럼 출근해 동료들과 대화하던 중 갑작스러운 급성 심정지로 사망한 소식이 알려졌다.
급성 심정지는 선행 질환과 상관없이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현상으로, 심장이 멈춰 혈액이 온몸으로 순환하지 못하면서 뇌가 빠르게 손상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젊은 남성의 급성 심정지가 중장년층에서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것과 다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중장년층의 경우 관상동맥질환, 대동맥 박리, 심근병증 등 평소 앓고 있는 질병이 급성 심정지의 위험 요인으로 꼽히지만, 20~30대 젊은 층은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최근 국내에서 20~30대 젊은 층도 소변에서 단백뇨가 발견되면 급성 심정지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백뇨는 소변에 과도한 양의 단백질이 검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정상적인 경우 신장은 대부분의 단백질을 혈류로 되돌려 보내고 소량의 단백질만 소변으로 내보내지만, 신장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서 많은 양의 단백질이 소변에 섞여 나오는 것이다. 보통 하루 300mg 이상 단백질이 배출되면 단백뇨로 본다.
일반적으로는 소변에 거품이 많고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면 단백뇨를 의심해볼 수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교수 연구팀은 2009∼2012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39세(평균 나이 30.9세) 634만5천162명을 대상으로 평균 9.4년을 추적 분석한 결과 소변 내 단백뇨와 급성 심정지 발생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급성 심정지는 추적 관찰 기간 중 총 5천352명에서 발생했다.
급성 심정지는 남성, 현재 흡연자, 폭음 그룹일수록 발생률이 높았다. 또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심부전, 심방세동,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합병증이 급성 심정지 환자에게 더 많았다.
단백뇨 여부에 따른 급성 심정지 발생률은 단백뇨 그룹이 0.19%로, 단백뇨가 없는 그룹의 0.09%보다 2.1배 더 높았다.
연구팀은 급성 심정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통계적 요인, 생활 습관, 합병증 등을 조정했을 때 단백뇨 그룹의 급성 심정지 발생 위험이 단백뇨가 없는 그룹보다 1.71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단백뇨의 양이 가장 많은 환자들(단백뇨 +3∼4단계)은 단백뇨가 없는 사람들에 견줘 급성 심정지 위험이 2.9배에 달했다.
또한 단백뇨와 만성신장병을 함께 가진 경우에는 급성 심정지 위험이 5.5배로 폭증했으며, 진행된 만성신장병 4∼5단계에서 단백뇨가 동반하면 급성 심정지 위험이 9.1배까지 치솟았다.
이로 볼 때 소변 샘플 검사에서 확인된 단백뇨가 젊은 연령대에서 급성 심정지 고위험군을 가려내는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최종일 교수는 "단백뇨는 급성 심정지 전에 발생하는 체내 염증 반응, 교감 신경 활성화 상태 등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건강검진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변 검사를 통해 단백뇨의 조기 진단은 물론 급성 심정지 등의 원인 질환 예방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 학술지(JAHA)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단백뇨는 정기적으로 소변을 검사해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백뇨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체중 유지, 금연, 절주 등을 통해 신장 건강을 지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수염 난 남자친구, 피부병 옮긴다? 美 의사의 당부
- 건강기능식품, 여러 종류 섞어 먹어도 될까? 섭취 전 주의사항
- 소금 많이 들어간 음식 자주 먹으면 복부 비만 위험 '최대 6배'
- 레드와인, 암 예방한다? 잘못된 '통념' 와장창..."화이트와인과 다를 것 없어"
- "자살위험 4.43배 증가"...'직장 내 괴롭힘' 뿌리 뽑아야 하는 이유
- 美 청소년 10명 중 9명 "난 000 쓴다!"
- "학교 쓰레기통서 네가 왜 나와?" 줄행랑 친 교장선생님
- 의도적인 무게 늘리기? 킹크랩 '얼음치기'가 뭐길래
- 추석 낀 9월 마지막주, 코로나 확진자 감소세 둔화
- '애국 먹방'은 바로 이것?...쯔양, 킹크랩 16인분 '순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