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고려대 이어 서울대 의대생도 90% 복학 신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 의대생들이 '복귀 마지노선'인 27일 1학기 등록을 하기로 결정했다.
연세대에 이어 의대생 규모가 가장 큰 서울대 의대까지 복귀를 결정하면서 의대생들의 동맹휴학 단일대오가 흔들리고 있다.
'서울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가 소속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전날 오후 10시부터 등록 관련 투표를 진행한 결과 607명 중 399명(65.7%)이 1학기 등록 의사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맹휴학 단일대오 흔들리는 모습
의대협 “38곳 여전히 미등록 유지”
서울대 의대생들이 ‘복귀 마지노선’인 27일 1학기 등록을 하기로 결정했다. 대규모 제적 우려가 커지자 일단 등록하기로 투쟁 방식을 바꾼 것이다. 연세대에 이어 의대생 규모가 가장 큰 서울대 의대까지 복귀를 결정하면서 의대생들의 동맹휴학 단일대오가 흔들리고 있다.
‘서울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가 소속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전날 오후 10시부터 등록 관련 투표를 진행한 결과 607명 중 399명(65.7%)이 1학기 등록 의사를 밝혔다. 기존 미등록 휴학 방침에 찬성한 의대생은 208명(34.3%)에 그쳤다.
복학원을 제출한 서울대 의대생은 700여명으로 파악됐다(오후 5시 기준). 지난해 휴학한 2024학번부터 본과 4학년까지 6개 학년 재학생 대다수가 복학 신청을 마쳤다. 학교 관계자는 “이미 등록을 마친 2025학번과 수업을 받고 있던 90명 정도를 빼고 총원의 90% 이상이 복학 신청을 마쳤다”고 말했다.
서울대 의대생들은 복귀 기한 전날까지 치열한 토론을 벌였다. 지난 25일 토론회에선 “미등록 시 제적의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 몫”이란 의견과 “미등록 휴학으로 협상력을 유지하자”는 의견이 엇갈렸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의 협상력에 대한 의문과 의사협회 등의 미온적인 태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서울대 의대의 입장 변화로 전국 의대생의 집단 행동 노선에도 균열이 커질 전망이다. 연세대 의대생들은 지난 26일 밤 ‘등록 후 휴학’으로 투쟁 방침을 밝히며 미등록 휴학 대열에서 이탈했다. 고려대 의대생들도 80% 이상 등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대는 지난 21일이 복귀 시한이었으나 이달 말까지 등록을 허용할 방침이다.
다만 서울대 TF는 “등록이 곧 복귀는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의대협도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의대는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이날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회의 모두발언에서 “기한 내 많은 학생이 복귀해 수업을 정상적으로 해나가길 희망한다. 정부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웅희 이정헌 박상은 기자 ha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간에도 인력 3700명 투입…“안동시내로 불길 접근 못하게”
- 검찰, 이재명 2심 무죄 상고…“도저히 수긍 어려워”
- “36개월부터 사교육 한다는 말에 충격… 가장 중요한 건 아이들”
- 학교 문 닫고 정전·단수… 일상이 멈췄다
- 불씨 덮치더니… 3분 만에 동네 전체가 불바다
- 법원, 정치인 발언 관대한 해석… 표현의 자유 범위 넓어졌다
- 의성 산불 역대급 피해 내며 ‘동진’…“비는 왜 안오나?”
- 울산시장 “울주 산불, 육안으로 봤을 땐 주불 100% 진화”
- ‘초등생 살해’ 명재완 구속기소…검찰 “분노 의한 이상동기 범죄”
- 셀린 송 감독 “‘기생충’ 덕분에 한국적 영화 전세계에 받아들여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