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재용 전구체 연평균 12% 성장…LFP가 주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전구체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글로벌 양극재용 전구체 수요가 2024년 320만톤(t)에서 2032년 777만t으로 2.4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용도 별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기차용 전구체 수요가 231만t에서 610만t으로 2.5배 늘 것으로 봤다.
특히 전체 ESS 시장의 90% 가량을 리튬인산철(LFP) 전구체 수요가 차지하며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지효 기자]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전구체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글로벌 양극재용 전구체 수요가 2024년 320만톤(t)에서 2032년 777만t으로 2.4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전망치는 12% 수준이다.
용도 별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기차용 전구체 수요가 231만t에서 610만t으로 2.5배 늘 것으로 봤다.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수요는 64만2,000t에서 137만t으로 2.1배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전체 ESS 시장의 90% 가량을 리튬인산철(LFP) 전구체 수요가 차지하며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봤다.
ESS용 LFP 전구체 수요는 56만t에서 125만t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소재 별로 보면 LFP 전구체는 지난해 전체의 57%를 차지했다. 2032년에도 63%로 높은 비중을 가져갈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삼원계 니켈·코발트·망간(NCM) 전구체는 2024년 32%에서 2032년 27%로 다소 줄 것으로 보인다.
세부적으로는 니켈 함량 80% 이상의 하이니켈 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배터리 산업은 비교적 빠르게 양극재의 내재화 및 수직 계열화에 성공했지만 전구체 자급도는 낮다.
기술력 보다는 원가 경쟁력이 크게 작용한다는 설명이다. 현재 우리나라 NCM 전구체 수입량의 90%가 중국에서 생산된다.
SNE리서치는 "전구체는 복잡한 공정, 원재료 가격 변동성, 환경 규제, 폐수 처리 등 높은 진입 장벽이 있기 때문에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지효기자 jhlee@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