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4000만원도 못 버는데 큰일"…암울한 사장님들

장영은 2025. 3. 27.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수 부진 등으로 자영업 경기가 어려운 가운데 대출 원리금을 갚지 못해 연체 기록이 있는 자영업자들의 상황은 더 팍팍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자영업자 연체 상황이 크게 악화되진 않았으나 취약 차주가 늘어나는 등 양극화가 심화하는 양상이다.

한은 관계자는 "전반적인 금융여건 완화에도 구조적 취약성 및 서비스업 경기 부진 등으로 인해 자영업자의 소득 회복이 지연되면서 취약차주 등을 중심으로 대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월 금융안정상황]
장사 안되고 빚은 늘고…연체 자영업자 부담 가중
대출 연체 자영업자 소득 주는데 대출은 늘어
자영업자 중 연체차주·취약차주도 증가세
"상환능력·의지에 따른 맞춤형 지원 필요"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내수 부진 등으로 자영업 경기가 어려운 가운데 대출 원리금을 갚지 못해 연체 기록이 있는 자영업자들의 상황은 더 팍팍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자영업자 연체 상황이 크게 악화되진 않았으나 취약 차주가 늘어나는 등 양극화가 심화하는 양상이다.

지난달 25일 서울 한 상점에 임대광고가 붙어 있다. 이 상점은 지난 2022년 9월 개업했지만 3년도 안 돼 폐업했다. (사진= 연합뉴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자영업자의 평균 소득 및 대출 현황에는 큰 변동이 없으나 연체 자영업 차주의 경우 소득은 감소하고 대출은 증가하면서 채무부담이 크게 증대됐다.

자영업자의 평균 소득은 2022년 말 4131만원으로 감소한 후 지난해 말 4157만원으로 소폭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4242만원)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특히 연체 자영업자의 경우 평균 소득은 2020년 말 3983만원에서 작년 말 3736만원으로 대체로 감소한 반면, 평균 대출은 2024년말 2억 2900만원으로 2020년 말 2억 500만원에 비해 늘었다.

자영업자 연체 차주도 2022년 하반기 이후 꾸준히 증가세다. 자영업자 연체차주는 2022년 2분기 말 4만 8000명에서 2024년 말 14만 8000명으로 3배가량 증가했다.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도 코로나19 이전의 장기평균 수준(2012~2019년 평균 1.68%)에 근접한 1.67%까지 상승했다. 지난해 연말 금융기관들의 연체채권 정리규모 증가 등의 영향으로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이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비은행(3.43%)과 취약 자영업자(11.16%)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여러 곳에서 돈을 빌렸으면서 저소득 혹은 저신용인 취약 자영업자 차주도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42만 7000명(전체 자영업자의 13.7%)이 취약 자영업자 차주로 전년말(39만 6000명) 대비 3만 1000명 증가했다. 다중채무 자영업자가 2만 2000명 줄었지만 저소득·저신용 차주가 각각 2만 1000명, 4만 7000명 늘면서다. 이에 따라 취약 자영업자 대출도 2023년 말 115조 7000억원에서 2024년 말 125조 4000억원(전체 자영업자 대출의 11.8%)으로 9조 6000억원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전반적인 금융여건 완화에도 구조적 취약성 및 서비스업 경기 부진 등으로 인해 자영업자의 소득 회복이 지연되면서 취약차주 등을 중심으로 대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개별 자영업자의 상환능력과 의지에 따라 △금융지원 △채무조정 △재기지원 등의 방안을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며 “채무를 정상적으로 상환 중인 차주에 대해서는 영업 및 금융 비용 등을 선별적으로 지원하고, 연체 및 폐업 차주에게는 새출발기금을 통한 채무조정을, 재기 희망 자영업자에게는 취업 및 재창업 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자영업자 차주 수는 총 311만 5000명으로 2023년 말(313만 1000명)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자영업자 대출 규모는 1064조 2000억원으로 1년 사이 11조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대비 증가세는 2023년 3.3%에서 2024년 1%로 둔화됐다. 자영업자 1인당 평균 대출 규모는 3억 4200만원으로 전년말(3억 3600만원) 대비 늘었다.

장영은 (bluera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