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생부터 男보다 女가 더 고학력 비율 높아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첫 일자리 취업 시기가 지연되는 등 청년기의 생애과정이 구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오늘(27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가통계연구원은 이달 이런 내용의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교육·취업'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1970∼1994년생 청년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cohort·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로 나눠 교육 수준, 고용, 자립 시기 등 지표를 분석한 겁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대생은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여성이 앞섰습니다.
1980∼1984년생의 대학 졸업 이상 비율은 남성에서 69.4%, 여성에서 72.1%로 집계됐습니다.
1985∼1989년생의 경우 각각 남성은 72.2%, 여성은 77.3%였습니다.
특히 1990∼1994년생의 경우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이 78.5%로, 남성(65.3%)보다 13%p 이상 높았습니다.
즉, 늦게 태어난 세대일수록 성별에 따른 대학 졸업 이상 학력자 비중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이는 각 세대가 31∼35세일 때를 기준으로 집계한 겁니다.
다만 나이가 어린 1990∼1994년생은 26∼30세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또 대학 졸업자 중 대학원 진학 비율에서도 1980년대생부터 여성이 남성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년 취업 시기는 지연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첫 취업 연령을 코호트별로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25∼29세인 시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1975∼1979년생에서는 22.12세, 1980∼1984년생은 22.72세였으나 1985∼1989년생은 23.4세로 높아졌다. 1990∼1994년생은 23.36세로 비슷한 수준이 유지됐습니다.
이른바 '청년 니트족'으로 불리는, 일하지 않고 교육도 받지 않는 청년 비율은 모든 세대에서 20세 이후 20% 이상을 기록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공무원 시험 또는 기업 입사 준비를 하는 청년, 좋은 일자리를 찾는 중인 청년 등이 다수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고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률을 볼 때 20대 중후반에 수도권으로 이동이 증가하는 현상은 비수도권에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점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청년기의 주요 과업인 자립과 관련해,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의 비율은 최근 세대로 올수록 높아지는 추세지만 가장 최근 세대(1990∼1999년생)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발견됐습니다.
북·서유럽에서 두터운 복지 제도 등으로 청년의 이른 독립이 일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최근 정부의 청년 주거 지원이 독립을 촉진했을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다만 이런 경향이 단기적인지 장기적인지 확인하고 장기적 경향이라면 심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앞으로 정부 투자 받아 집 산다…지분형 주택금융 뭐길래
- 현대차, 美 HMGMA 준공식…정의선 "백악관 발표 큰 영광"
- 목돈 부담, 사기 우려…30대 초반 전세 대신 월세선호?
- 김병환 7억·이복현 17억…금융당국 수장 재산은
- "불길 코앞인데, 골프 후반전 나가라"…라운딩 강행 골프장 논란
- 준공업지역에 주택 짓기 쉬워진다…용적률 최대 400% 적용
- 전국 5㎜ 안팎 단비…강풍에 건조한 날씨 계속
- 日 언론, 현대차 美 투자에 "車산업 공동화 우려"
- 최악 산불 대체 언제까지…국회 오늘 본회의 취소
- "삼겹살 100g에 1천원대"…이마트, '가격파격 선언' 행사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