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의 간 이식했더니 10일 간 부작용 없어… 최초의 연구 사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뇌사자에게 이식한 돼지의 간이 10일간 거부 반응 없이 담즙과 알부민을 생성하고 혈류도 안정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교신저자인 린 왕 중국 제4군사의과대 교수는 지난 25일 브리핑에서 "돼지 간이 인체 내에서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한 것이 이번 연구의 성과"라며 "간 이식을 위해 오래도록 기증자를 기다려야 하는 동안 환자들의 생명을 유지하는 '다리' 역할로써 돼지 간의 활용 가능성도 모색해보려 한다"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안 제4군 의과대학 린 왕 교수팀은 27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초급성거부반응 유전자 등 유전자 6개를 편집한 바마 미니 돼지(Bama miniature pig) 간을 뇌사자에게 이식 후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해당 이식은 인간의 간을 완전히 대체한 것이 아니라 돼지의 간을 보조 간으로 추가한 ‘이종이식’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등에서 돼지의 심장과 신장을 인간에게 이식한 사례가 있었으나 돼지의 간을 이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돼지 간은 생리적 특성이나 크기 때문에 인간 간의 대체 장기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간은 기능이 상대적으로 단순한 심장이나 신장에 비해 소화와 면역체계 조절 등 복합 기능을 해서 이식이 더욱 까다로웠다.
논문 교신저자인 린 왕 중국 제4군사의과대 교수는 지난 25일 브리핑에서 “돼지 간이 인체 내에서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한 것이 이번 연구의 성과”라며 “간 이식을 위해 오래도록 기증자를 기다려야 하는 동안 환자들의 생명을 유지하는 ‘다리’ 역할로써 돼지 간의 활용 가능성도 모색해보려 한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연구에는 제한점이 많아 실제 이식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까지는 여러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뇌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인 데다, 뇌사자의 가족이 실험을 10일간만 허용해 더 장기적인 영향을 관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반 페르난데스 베가 스페인 오베이도대 병리해부학 교수는 “단일 사례에 대해서만 연구가 진행됐고, 약물대사나 해독, 면역 등 복잡한 간 기능에 대한 평가가 없는 점이 한계”라고 말했다.
피터 프렌드 영국 옥스퍼드대 이식학 교수도 “이식 후 정상적인 혈액 응고 매개변수가 유지되는 것은 고무적이나, 이것이 원래 간이 아닌 이식된 간에서 생성된 것인지를 직접 측정하지 않아 성과가 확실히 증명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350승 레전드 투수가 편의점서 술 2캔 훔치다가 체포...발칵 뒤집힌 일본 - 매일경제
- “더 이상 못 참아”...노조 파업에 극약처방 내놓은 현대제철, 무슨 일이 - 매일경제
- “여직원 많아 투입하기 어렵다”...김두겸 울산시장, 산불진화 발언 놓고 시끌 - 매일경제
- “큰일 날 뻔했네”…엉뚱한 활주로에 착륙한 진에어 여객기 - 매일경제
- [속보] 트럼프,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 공식 발표...내달 2일부터 - 매일경제
- [단독] “요금 안 올리는 KTX때문에 망할 판”...고속버스 고사 위기 몰린 이유는 - 매일경제
- 감사보고서 미제출 56곳 상장폐지 시계 '째깍째깍' - 매일경제
- “받지도 못할 연금 왜 내라고 해”...국민연금 개혁에 뿔난 청년들 - 매일경제
- 산불 때문에 난리인데, 제 정신 맞아…담배꽁초 ‘툭’, 무단투기男에 분노 - 매일경제
- 다시 보여준 ‘무’기력함, 5분만 좋았다…선제골 못 지킨 홍명보호, 요르단과 1-1 무승부 [MK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