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기업] 코로나19 때 새출발기금 등 운영…위기 속 '국가 경제 안전판' 역할 톡톡

2025. 3. 27. 05: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자산관리공사

권남주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이 지난 1월 2일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본사에서 열린 ‘2025년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그는 “국가 경제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사진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는 1962년 설립 이후 60여년간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 팬데믹 등 국가 경제를 뒤흔든 위기 상황마다 ‘국가 경제 안전판’으로서 든든한 버팀목이 돼 왔다.

IMF 외환위기 당시 캠코는 정부가 설치한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재원을 바탕으로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총 39조2221억원을 투입, 111조6497억원 규모의 금융회사 부실채권을 인수해 금융시스템을 조기에 안정시켰다. 이후 채무조정, 국제입찰, ABS(자산유동화증권) 발행 및 M&A(경영권매각) 등 다양한 선진 금융기법을 활용해 46조9568억원을 거둬들였다. 투입자금 대비 7조7347억원을 초과 회수한 성과다.

캠코의 역할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며 더욱 확대됐다. 캠코는 2009년 5월 정부가 설치한 ‘구조조정기금’을 통해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가 보유한 PF부실채권을 적기에 인수해 PF대출의 연착륙을 지원함으로써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제고하고 금융시장에 안정을 더했으며, 악성 미분양 아파트 등을 인수해 건설사의 연쇄 부도를 막고 건설경기 회복에도 기여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국내 해운사의 선박 33척을 인수, 해운사의 구조조정을 지원해 국내 선박의 해외 매각 최소화를 통한 국부 유출 방지와 선박금융 시장의 활성화를 견인했다. 이 밖에도 캠코는 부실자산 관리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구조조정기금을 운용해 투입자금 6조1693억원 대비 107% 수준인 6조5983억원을 성공적으로 회수했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에는 ‘새출발기금’을 운영하며 다시 한번 구원투수로 나섰다. 2020년 4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사업을 영위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중 부실차주 또는 부실우려차주에 대해 ▶추심 중단 ▶상환 기간 연장 ▶금리 인하 ▶원금 조정 등으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신용 회복과 조속한 재기를 도왔다.

새출발기금 출범 이후 올해 1월 말까지 약 11만 명의 소상공인·자영업자가 채무조정을 신청했으며, 채무액은 약 17조5000억원에 달했다. 이 중 3개월 이상 연체한 부실차주 3만1000명은 매입형 채무조정을 통해 원금의 70%를 감면받았고, 부실이 우려되는 차주 3만3000명은 중개형 채무조정을 통해 약 4.7%p의 이자 감면 혜택을 받았다.

권남주 캠코 사장은 “창립 63주년을 맞이한 캠코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한국 경제의 위기 극복 역사와 그 궤를 같이한다”며 “앞으로도 취약 부문에 대한 경제 안전망을 더욱 촘촘히 구축해 국가 경제의 위기 대응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준혁 중앙일보M&P 기자 lee.junhyuk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