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부정선거 주장하며 행정명령…수백만명 투표 못하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정선거를 잡겠다며 선거제도 개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연방 선거제도 수정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해당 행정명령은 시민들이 유권자 등록 시에 정부가 발급한 미국 시민권 증명 문서를 제시하도록 규정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분증 없이는 투표 못하게 막을 것"
"사실상 투표권 박탈" 지적 이어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정선거를 잡겠다며 선거제도 개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유권자 등록 시 시민권 증명 문서를 첨부하라는 것이 골자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주민등록증과 같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발급하는 신분증이 없다. 이 때문에 여권이나 운전면허증이 없는 상당수 시민들은 사실상 투표권이 박탈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정명령을 이용한 월권 문제도 다시 불거졌다.
부정선거 주장 그대로 담은 행정명령
미국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연방 선거제도 수정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해당 행정명령은 시민들이 유권자 등록 시에 정부가 발급한 미국 시민권 증명 문서를 제시하도록 규정했다. 우편 투표를 실시할 때는 '선거일 이후 도착한 투표지를 무효표로 처리하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부정선거설'이 그대로 담겼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부정선거로 인해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했다는 주장을 펼쳐왔는데, 이 부정선거설의 두 주축이 '선거 사기'(부정 유권자 등록)와 우편 투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 부정선거의 구체적인 근거는 제시하지 못했다.
미국인 2000만 명, 신분증 구하기 힘들다
반면 행정명령 시행으로 인한 부작용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주민등록증과 같은 전 국민 대상 발급 신분증이 없다. 필요한 경우 여권 또는 운전면허를 발급받을 수 있지만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미국 AP통신은 비영리연구소인 브레넌 정의센터의 2023년 보고서를 인용해 유권자 연령에 달한 미국 시민 가운데 9%에 달하는 2,130만 명이 시민권 증명 서류를 쉽게 구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릭 하센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날 블로그에 글을 올려 "소수의 무자격자 투표를 막겠다고 수백만 명의 유자격 유권자 투표를 막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또다시 자신의 권한을 넘어서는 행정명령을 내렸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날 행정명령은 주의 선거관리제도를 직접 겨냥했는데, AP는 "미국 헌법이 선거 관련 권한을 주 정부에 부여하고 있는 만큼 이번 행정명령도 법적 문제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관련 조치를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그는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서명식에서 "앞으로 몇 주 내로 취할 다음단계 조치가 있다"며 선거제도와 관련한 조치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이정혁 기자 dinner@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선거법 위반' 2심서 무죄 받아 | 한국일보
- 천년고찰 고운사는 불탔지만... 방염포 덮은 안동 만휴정은 살았다 | 한국일보
- 임영웅, 세금 미납으로 마포구 자택 압류… 뒤늦게 완납 | 한국일보
- 안동대 학생 "강의 중 재난문자 100개 실화인가" 산불 확산에 SNS 목격담 이어져 | 한국일보
- 윤다훈, 가족사 공개 "아내와 딸, 12세 차이" ('같이 삽시다') | 한국일보
- 김대호, MBC 퇴사 이유 이거였나... "출연료 150배 올라" | 한국일보
- 故 김수미 생전 일기 공개… 김혜자 "또 만나자" 문자에 서효림 눈물 | 한국일보
- "화재로 음식 부족" 안동 주민 호소에 온라인서 후원 잇따라 | 한국일보
- "1시 이후에 오세요"...공무원 '점심시간 휴무제' 갑론을박 | 한국일보
- 최불암, 14년 진행한 '한국인의 밥상' 떠난다… 후임은 최수종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