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선관위, 전국 216곳에 관사 운영…전세금만 54억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전국 각지에 216곳의 주거용 관사를 운영하고, 여기에 들어가 있는 전세보증금 총액이 54억여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6일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실이 국회입법조사처로부터 제출받은 '선관위 주거용 재산 현황' 등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선관위는 전국에 216곳의 관사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관위가 사용하고 있는 주거용 관사 전세보증금 총액은 54억여 원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전국 각지에 216곳의 주거용 관사를 운영하고, 여기에 들어가 있는 전세보증금 총액이 54억여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선관위 관사 배정 과정에서 특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실이 국회입법조사처로부터 제출받은 ‘선관위 주거용 재산 현황’ 등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선관위는 전국에 216곳의 관사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관위가 사용하고 있는 주거용 관사 전세보증금 총액은 54억여 원이었다. 월세 지원금은 월 1736만 원으로 연간 2억 800만 원 정도가 지출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선관위는 ‘선거관리위원회 주거용 재산 관리 규정’ 등에 따라 관사를 배정한다. 주거용 재산관리관이 입주 순위와 절차 등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재산관리관의 재량으로 인해 특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규정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선거관리위원회 주거용 재산 관리 규정’에는 출퇴근이 곤란한 자 중 하나로 ‘주거용 재산관리관이 기관의 운영상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람’이라는 조항이 있는데, 김 의원은 이 같은 규정을 없애거나 구체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감사원 감사에서 선관위가 자녀 특혜 채용 논란에 휩싸인 김세환 전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의 아들에게 관사를 특혜 제공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김민전 의원은 “채용 비리와 각종 특혜 논란에 휩싸인 선관위는 구시대 유물인 관사를 점진적으로 폐지하는 등의 관사 운영 개선방안을 조속히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dapaper@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이재명 선거법 항소심 무죄…고법 “허위사실 공표로 볼 수 없다”
- 의성 산불 진화 헬기 추락, 조종사 사망…전국 헬기 투입 한때 중단
- [단독]선관위, 전국 216곳에 관사 운영…전세금만 54억원
- 안동 골프장 캐디 “불길 눈앞인데 영업 강행…죽을 뻔”
- 산불 밀려올 땐, 바람 등지고 활엽수림 따라 신속히 벗어나야
- 통곡물 식품, 흰쌀밥·흰빵보다 정말 더 건강할까?
- “트럼프, 최대 50% 긴급관세 부과 뒤 조정하는 방식 검토”
- 신혼·출산가구 ‘내집마련’ 밀어준다…우선공급 늘리고 특공 기회 1번 더
- “배설물 치우기 힘들어”…살충제 묻인 생쌀로 비둘기 11마리 죽여
- EBS 신임 사장에 신동호…“2인 방통위 임명 인정못해” 내부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