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 허리둘레 재봤더니…"암 걸릴수도" 알 수 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남성 암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 데 있어 BMI(체질량지수)보다 '허리둘레'가 더 중요한 지표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매체 '더 선'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스웨덴 룬드대학교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남성 암 발병 위험 예측에서 허리둘레가 BMI보다 정확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성 암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 데 있어 BMI(체질량지수)보다 '허리둘레'가 더 중요한 지표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에게는 해당 사항이 없었다.
영국 매체 '더 선'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스웨덴 룬드대학교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남성 암 발병 위험 예측에서 허리둘레가 BMI보다 정확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룬드대학교 연구진은 스웨덴 시민 33만9190명(평균 나이 51.5세) BMI와 허리둘레 데이터(1981~2019년 측정)를 스웨덴 국립 암 등록부에서 받은 암 진단 데이터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진은 조사 대상자의 △나이 △흡연 습관 △교육 수준 △소득 △결혼 여부 등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인구학 요인까지 고려, 암 발병에 대한 BMI와 허리둘레의 상대적 위험도를 계산했다.
공정한 비교를 위해 BMI와 허리둘레의 측정 오류를 조정, 표준편차(1SD)를 정해 연구에 나섰다. 그 결과 남성은 허리둘레가 1SD(10.8㎝) 늘어나면 암 발생 위험이 25%가량 증가했다. 반면 BMI가 1SD(3.8 ㎏/㎡) 증가하면 암 발병 위험이 19%가량 올라갔다.
여성은 허리둘레와 BMI 모두 암 발병 위험과 연관성이 남성보다 약했다. 여성은 허리둘레와 BMI가 각각 1SD(11.8㎝, 4.3㎏/㎡) 증가하면 암 발병 위험이 13%가량 오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복부 장기 주변에 축적되는 내장 지방은 인슐린 저항성, 염증, 비정상적 혈중 지방 수치 등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며 "BMI는 지방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허리둘레가 (암 위험과) 더 연관성이 높은 지표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남성은 내장 주변에 지방을 많이 저장하고 여성은 피하 등 다른 곳에 지방을 축적한다는 차이가 있다"며 "여성은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를 합친 수치에 대해 살펴보는 게 더욱 유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채태병 기자 ctb@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故김수미, 김혜자에 "천국 도착했다" 문자…서효림 펑펑 운 사연 - 머니투데이
- "미친 것 같다"…'김새론 낙태설' 유튜버 이번엔 '모녀 갈등' 주장 - 머니투데이
- 김대호, '먹튀 퇴사' 해명…"소속사 계약금 퇴직금보다 많다" - 머니투데이
- 임영웅 세금 체납…'51억' 펜트하우스 압류까지 당했었다 - 머니투데이
- "산불 안동에 종갓집, 아버지 산소"…이 여배우 속앓이 - 머니투데이
- 중국으로 떠난 승리 근황…"인맥 총동원, 새 엔터 사업 모색 중" - 머니투데이
- 입 연 김수현, 회사 파산 막으려고?…"통장 바닥, 청소업체 계약도 해지" - 머니투데이
- "나체 베드신 강요? 故설리, 숙지 후 촬영"…증거 꺼낸 김수현 측 - 머니투데이
- 출산 직후 잠자리 거절한 아내…'마약중독' 남편의 복수, 태국 발칵 - 머니투데이
- 담양군수 재선거서 '이변'…정철원 조국혁신당 후보 당선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