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에 ‘보물 이송’ 대작전…면사무소·초등학교로 피신

이정아 2025. 3. 26.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 북부를 집어삼킨 산불은 오랜 세월을 간직한 문화유산마저 위협했다.

사찰이 품어 온 보물 10건(651점)과 시도유형문화유산 5건(17점)이 화마를 피해 새로운 피난처로 향했다.

목조관음보살좌상과 괘불도, 아미타설법도 등 보물 3건이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로 피신했다.

보물로 지정된 의성 고운사의 연수전과 가운루는 불길에 휩싸여 완전히 전소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6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 가운루를 비롯한 건물들이 전날 번진 산불에 모두 불에타 흔적만 남아 있다. 이번 화재로 보물로 지정된 가운루와 연수전 등이 소실됐다. [연합]
산불이 확산 중인 25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서 불상이 황급히 옮겨지기 위해 흰천으로 덮여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경북 북부를 집어삼킨 산불은 오랜 세월을 간직한 문화유산마저 위협했다. 거센 바람을 타고 번진 불길은 천년사찰을 삼켰고, 수백 년을 지켜온 불상과 괘불도 더는 제자리에서 안전할 수 없었다.

국가유산청은 의성 고운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봉황사·선찰사, 영덕 장륙사가 소장한 유물 15건을 긴급 대피시켰다고 26일 밝혔다. 사찰이 품어 온 보물 10건(651점)과 시도유형문화유산 5건(17점)이 화마를 피해 새로운 피난처로 향했다.

고운사의 보물 석조여래좌상은 황급히 안동청소년문화센터로 임시로 옮겨졌다. 통일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한 고운사가 화마에 휩싸여 큰 피해를 입기 직전에 긴급 구출한 것. 시간이 급박해 부처가 앉아 있던 대좌(臺座)는 남겨둘 수밖에 없었다는 게 국가유산청 측의 설명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부석사에 있었던 보물 고려목판과 오불회 괘불탱은 인근에 있는 소수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된장체험단지에는 뜻밖의 손님이 도착했다. 바로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인 부석사 조사당 목조의상대사좌상이다.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한 산불이 북부권역으로 확산한 26일. 국가 보물들이 보관된 안동 봉정사에서 긴급 유물 이송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또 다른 사찰인 봉정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목조관음보살좌상과 괘불도, 아미타설법도 등 보물 3건이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로 피신했다. 1622년 당대 최고의 승려들이 조성한 안동 선찰사가 간직한 보물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 급박하게 옮겨지면서 뜻밖에도 길안초등학교에 머물게 됐다. 영덕 장륙사에서는 건칠관음보살좌상과 영산회상도, 지장시왕도 등 보물 3점이 불길을 피해 영해면사무소로 긴급 이송됐다.

다만 불티가 강풍을 타고 최장 2㎞까지 날아가 번지는 ‘비화 현상’까지 더해지면서 모든 국가유산을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보물로 지정된 의성 고운사의 연수전과 가운루는 불길에 휩싸여 완전히 전소됐다. 청송의 경북 유형문화유산 만세루도 전날 화마를 피하지 못하고 잿더미로 변했다.

경기 북부를 중심으로 산불이 계속 번지고 있다. 피해 규모를 확인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상황이 정리될 때까지 국가유산 피해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