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사 사망’ 추락 진화헬기 30년 쓴 노후 기종이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악의 산불이 엿새째 계속되는 가운데 26일 낮 경북 의성에서 산불 진화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숨졌다.
강원도가 산불 진화를 위해 임차한 기령(기체 나이) 30년 된 헬기로, 사고 원인은 조사 중이다.
국회 검토보고서는 "산림청 보유 헬기 사고의 경우 노후화에 따른 기체 결함이 직접적 사고 원인은 아닌 것으로 파악되는 반면, 지자체 임차 헬기의 경우 기령 20년이 넘은 헬기(경년기) 추락 사고가 6건에 달해 산림청과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림청 헬기보다 ‘기체 나이’ 높아
기령 47년짜리 헬기 추락하기도
최악의 산불이 엿새째 계속되는 가운데 26일 낮 경북 의성에서 산불 진화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숨졌다. 강원도가 산불 진화를 위해 임차한 기령(기체 나이) 30년 된 헬기로, 사고 원인은 조사 중이다.
산불 진화용 헬기는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운용하고 있다. 산림청은 자체 보유 헬기를, 지자체는 민간에서 임차한 헬기를 쓴다. 강원도는 산불 진화를 위해 6대의 헬기를 임차해 쓰고 있다. 이번에 추락한 헬기는 산불 진화 지원을 위해 투입됐다.
사고 원인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산불 진화용 헬기의 노후화·정비 문제는 국회 국정감사 등에서 수년째 지적됐다.
산림청의 경우 헬기 노후화에 견줘 정비 인력은 부족한 수준이다. 2023년 기준 산림청 보유 헬기 47대(현재 50대) 가운데 기령 20년 초과 헬기가 66%(31대), 30년 초과 헬기는 19.1%(9대)였다. 정비 인력은 헬기 1대당 1.9명 수준이었다. 산림청과 같이 자체 헬기를 보유·운용하는 해양경찰청(1대당 5.5명), 소방청(1대당 4명), 경찰청(1대당 3.3명)에 비춰볼 때 정비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23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산림 항공기 안전 확보를 위한 산림보호법 개정안 검토보고서를 보면, 2013∼2023년 산불 진화 중 헬기가 추락한 사례는 10건이다. 모두 16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이번 의성 추락 사고까지 합하면 12년간 11건 추락 사고가 발생해 17명이 사망했다.
산림청 보유 헬기 사고는 3건이다. △2018년 12월 서울 한강 추락(기령 21년, 비행고도 착각, 사망 1명·부상 2명) △2017년 5월 강원 삼척 추락(기령 22년, 고압선 충돌, 사망 1명) △2013년 5월 경북 안동 추락(기령 5년, 비행고도 착각, 사망 2명·부상 1명) 사고가 있었다.
지자체 임차 헬기 사고의 경우 산림청 헬기 사고에 견줘 기체 나이가 특히 많은 것이 눈에 띈다. 같은 기간 지자체가 임차한 헬기 추락 사고는 7건(산불 진화 4건, 일반 화재·산불 계도·자재 운반 각 1건)이 있었다. 가장 최근인 2022년 11월 강원도 양양에서 기령 47년짜리 헬기가 산불 계도 비행 중 추락해 5명이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또 △2022년 5월 경남 거제 추락(기령 52년, 자재 운반 중, 사망 2명·부상 1명) △2021년 충북 청주 추락(기령 16년, 담수 작업 중, 사망 1명·부상 1명) △2020년 3월 울산 울주 추락(기령 41년, 담수 뒤 이륙 중, 사망 1명) △2017년 11월 전남 보성 추락(기령 24년, 물주머니와 꼬리날개 충돌, 사망 1명) △2016년 3월 경기 화성 추락(기령 44년, 연료펌프 미작동, 사망 1명) △2016년 1월 전북 김제 추락(기령 23년, 꼬리회전날개 볼트 이탈, 사망 1명) 사고가 있었다.
국회 검토보고서는 “산림청 보유 헬기 사고의 경우 노후화에 따른 기체 결함이 직접적 사고 원인은 아닌 것으로 파악되는 반면, 지자체 임차 헬기의 경우 기령 20년이 넘은 헬기(경년기) 추락 사고가 6건에 달해 산림청과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자체 임차 헬기에서 추락 사고가 많이 발생한 이유는 경년기가 많고, 안전 관리 및 부품 교체·정비 등이 미흡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지난 11일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산림항공기 기령과 부품 내구연한을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산림보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한편, 올해 산림청은 △산불 진화용 헬기 2대 도입(880억원) △고성능 산불 진화차 16대 배치(60억원) △송전탑 활용 산불위험 조기감지 감시망 100곳 확충(24억원) △산불 예보시스템 고도화(2억4600만원) △공무원 진화대 방염복 등 보호장비 지급(1억5400만원) 등에 예산을 편성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재명, 2심 무죄로 ‘피선거권 박탈’ 피해…조기대선 행보 탄력
- “불이 펄떡펄떡, 날아서 굴러다니데”…녹아버린 바닷마을 [현장]
- [속보] ‘무죄’ 이재명, 법원에서 바로 안동 산불현장으로
- 키세스 시위대와 응원봉 세대는 민주시민 교육의 힘 [왜냐면]
- 이재명 ‘선거법’ 무죄…2심 “허위발언 아니다”
- 하회마을 지키려 밤새 물 195톤 뿌렸다…5㎞ 앞 산불에 안간힘
- ‘다음 분사 반대’ 카카오 노조, 4월 총파업 예고…단식농성 계속
- 의성 산불 진화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 문재인 전 대통령 “윤 탄핵선고, 이번주 안 넘기길 간곡히 당부”
- 나를 키운 것은 열여덟의 공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