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모든 것이 서울에 집중…2~6개 거점도시 키워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소수 거점도시를 집중 육성해 수도권에 버금가는 정주 여건을 만들어야 모든 것이 서울에 집중된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재차 지적했다.
이 총재는 "(소수 거점도시 육성) 정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지역의 경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한 핵심 지표가 바로 통계청의 GRDP 통계"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창용 총재, 26일 한은·통계청 공동 포럼서 강조
새로 발표된 통계청 분기 GRDP 기반해 추진해야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소수 거점도시를 집중 육성해 수도권에 버금가는 정주 여건을 만들어야 모든 것이 서울에 집중된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재차 지적했다.
또 거점도시 육성 과정에서 지역 경제 상황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며 새로 발표되는 ‘분기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를 적극 이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26일 한은이 통계청과 공동으로 개최한 ‘균형발전을 위한 과제, 그리고 지표를 통한 전략’ 포럼에서 “2개에서 많아야 6개 정도의 소수의 거점도시에 핵심 인프라와 자원을 집중투자하여 일자리와 교육·문화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수도권에 버금가는 정주 여건을 조성하자”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과도한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치열한 경쟁과 높은 주거 비용이 청년들이 결혼과 출산을 주저하는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서울은 풍부한 일자리와 높은 소득 수준을 유지하지만, 그 이면에서는 우리 경제 전체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개인의 행복이 희생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거점도시가 아닌 다른 지역이 뒤처질 수 있단 지적에 대해선 “지금처럼 모든 것이 서울에 집중된 상황에서, 지방에 있는 작은 도시가 서울의 성장에 따른 낙수효과를 기대하는 것보다는, 가까이 있는 거점도시가 발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파급효과가 훨씬 현실적”이라고 설명했다.
앞서서도 그는 과도한 서울 집중 현상을 해결해야 한다며 소수 거점도시 육성을 여러 차례 제안한 바 있다. 이날엔 이와 함께 통계에 기반한 지역 발전을 이뤄야 한단 점도 강조했다.
이 총재는 “(소수 거점도시 육성) 정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지역의 경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한 핵심 지표가 바로 통계청의 GRDP 통계”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 통계청이 처음으로 발표하는 분기별 GRDP는 한국은행이 주요 어젠다로 삼아 온 지역균형발전의 핵심 기반이 된다”고 밝혔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낡은 봉투가 한가득” 이게 마라톤 기념품이라고?…아무도 몰랐다 [지구, 뭐래?]
- 故김새론 남편도 입 열었다…“교제 두달 만에 결혼, 임신·폭행은 사실 아냐”
- 박한별 “하루하루가 지옥 같았다”…‘버닝썬 연루’ 남편 논란에 “정말 죄송한 일”
- “한혜진·승무원들도 쓰던데”…몸값 8000억원 ‘대박’날까
- JYP엔터 춤 연습실서 댄스, “나도 아이돌 되어볼까”…中 4만~10만원 척척내는 ‘이 곳’
- 배우 이세은 “안동 父 산소 괜찮나 애가 타…차마 여쭤볼 수 없었다”
- 임영웅, 합정동 자택 압류됐다 해제…“우편물 확인 못해 세금 체납”
- 캣츠아이 라라 “나는 성소수자, 무서웠지만 성정체성은 나의 일부”
- [영상] “여자가 남자 소유물?”…김영철, 장영란 가슴에 ‘나쁜 손’ 해놓고 “남편에 죄송”
- 백종원, 이번엔 “유명 굴소스에 물 타서 판다” 논란…“사실과 달라” 해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