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생산, ‘역대 최소’ 전망…수급 불안·식량안보 위협 우려
정부가 추진 중인 ‘벼 재배면적 감축’ 영향으로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4% 가량 감소해 역대 최소가 될 것이란 국책연구기관 전망이 나왔다. 정부의 무리한 감축 추진이 쌀 생산량 감소로 이어져 쌀 가격 상승과 수급 불안을 키우고, 식량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 농업관측센터가 26일 공개한 ‘농업관측 4월호’를 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44만t으로 지난해(358만5000t)보다 14만5000t(4.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통계청이 집계(미곡 생산량)를 시작한 1998년 이후 가장 적은 물량이다.
이는 기존에 쌀 농사를 짓던 농가의 올해 벼 재배 의향이 지난해보다 크게 감소한 영향이다. 통계청과 농업관측센터가 지난 6~12일 벼 재배농가를 대상으로 표본조사한 결과, 벼 재배면적(재배의향 면적)은 66만3000㏊로 추산돼 통계 집계 이후 가장 적었다. 지난해(69만8000㏊)보다 5.0% 줄어들어 감소 폭도 역대 가장 컸다. 기존 벼 재배에서 논콩, 조사료, 가루쌀 등 전략작물 재배로 전환하거나 휴경을 하겠다고 응답한 농가가 많았다는 의미다.
농경연은 이같이 추산한 면적에 최근 5년간 평균 쌀 생산단수 10a(1000㎡)당 생산량(518㎏)을 적용해 올해 쌀 생산량을 산출했다. 농경연 관계자는 “최근 산지쌀값이 오르는 추세여서 오는 5월 조사에서는 ‘벼를 재배하겠다’고 응답하는 농가가 더 많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농가의 벼 재배 의향이 줄어드는 배경에는 정부가 쌀 과잉공급 문제를 해소하겠다며 추진 중인 올해 ‘벼 재배면적 8만㏊(헥타르·1㏊=1만㎡) 감축’ 정책이 깔려 있다. 올해 감축 면적은 지난해 벼 재배면적(69만8000㏊)의 11%로, 여의도(290㏊)의 276배 규모다. 지방자치단체에는 지난해 쌀 생산량을 기준으로 올해 감축 목표치가 할당된 상태다.
지난해처럼 작황 부진과 기상 악화 등이 겹치면 쌀 생산량은 더 쪼그라들 수 있다. 통계청은 지난해 10월 발표한 ‘쌀 예상 생산량조사 결과’에서 2024년 쌀 생산량이 2023년(370만t)보다 1.2%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으나, 비슷한 시기에 벼멸구 피해가 전국적으로 커지면서 감소폭이 전년 대비 3.2%로 확대됐다.
생산량이 크게 줄면 향후 쌀 가격이 상승하고 수급 불안이 가중될 수 있다. 산지 쌀값(80㎏ 한가마)은 지난해 말 18만4700원에서 지난 15일 기준 19만2848원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정부 목표가격인 20만원에 근접해 있다. 쌀 공급이 줄어드는 7~9월을 거치면 쌀값은 더 오를 수 있다. 농경연도 최근 관련 보고서에서 “‘벼 재배면적 감축’ 영향으로 쌀 생산이 줄어 가격이 오르고 수급 불안이 커질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식량 안보 측면에서도 우려가 커진다. 강순중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정책위원장은 “세계 각국은 다가올 식량위기에 대비해 자급 능력을 키우려고 애를 쓰는데 우리 정부는 강압적인 방식으로 농민의 영농권을 제한하고 있다”며 “정부의 무리한 재배면적 감축이 결국엔 쌀 수급 불안을 키우고, 식량 안보를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3042044005
안광호 기자 ahn7874@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제뭔데]이준기 9억, 유연석 70억까지···연예인이 국세청 세금 추징당하는 이유는?
- [속보]10일째 맞은 산청 산불 진화율 99%…“진화 총력”
- [단독]‘김건희 공천’ 노리고 명태균에 돈 준 여권인사 더 있다···검찰, 명단 확보
- 최상목, ‘환율 오르면 이익’ 미 국채 투자 논란…민주당 “언제 샀는지 밝혀라”
- 민주당 “권성동, 목적어 헷갈렸나…내란죄 묻겠다면 윤석열 고발하라”
- 검찰, 천하람 소환조사…명태균 ‘칠불사 홍매화 회동’ 캐나
- 민주 “윤, 파면 안 되면 또 계엄” 국힘 “계몽령, 직무 복귀해야”…양당 장외 여론전
- 민주당, 검찰 문재인 소환에 “아직 정신 못 차려…윤석열 정권 최후 발악”
- [속보]‘탄핵 예고’에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등 내란음모죄로 고발하겠다”
- “파면될 때까진 나와야죠”…꽃샘추위에도 광장 메운 ‘탄핵 촉구’ 시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