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교사 98%, 고교학점제로 출결 업무 부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부터 고등학교 1학년생들의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된 가운데 교사들의 대부분이 출석 관리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26일 나타났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지난 19∼25일 전국 고등학교 교사 1736명을 대상으로 '2025 고교학점제 현장 실태 조사'를 한 결과 교사 97.6%가 새로 바뀐 고1 출결 처리 방법 때문에 업무 부담이 중가했다고 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강 발생 학교 55%, 공강 프로그램 배치 33%
올해부터 고등학교 1학년생들의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된 가운데 교사들의 대부분이 출석 관리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26일 나타났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지난 19∼25일 전국 고등학교 교사 1736명을 대상으로 ‘2025 고교학점제 현장 실태 조사’를 한 결과 교사 97.6%가 새로 바뀐 고1 출결 처리 방법 때문에 업무 부담이 중가했다고 답했다.
수업이 중간에 비는 ‘공강’이 발생한 학교는 54.8%로 집계됐다. 공강 시간에 프로그램을 배치한 학교는 33.2%였다.
응답자 87.0%는 정규 수업이 아닌데도 학생 지도를 명분으로 교사를 배치하는 데 부담을 느꼈다. 67.9%는 공강 시간 학생 안전사고 책임에 대한 부담을 호소했다.
아울러 86.6%는 최소성취수준보장제도 시행으로 업무 부담이 크게 증가했다고 답했다.
고교학점제 주요 내용 중 하나인 최소성취수준보장제도는 학생이 과목별 출석률 3분의 2 이상, 학업성취율 40% 이상이 돼야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미도달 시 교사가 보충 수업을 해야 한다.
이번 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34%포인트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춘천서 尹 탄핵 반대 집회…전한길 "계엄은 대통령 권한"
- 금감원, ‘코스피 먹통’ 일으킨 거래소 전산장애 살펴본다
- 한동훈 “86세대 꿀 빨고 청년세대 독박”…국힘 내부 ‘연금개혁’ 여진
- BTS 정국 명의 도용해 주식 무단탈취 시도… “원상회복 조치”
- 김진하 양양군수, 민원인 강제추행 혐의에 “합의 성관계” 주장
- 300억원대 시온숲속뷰 입주예정자 “금융기관 진상 규명 요구”
- 춘천출신 경계현 고문 ‘80억원’ 삼성전자 연봉왕
- 강원대, 춘천교대·강원도립대와 2027년까지 통합 추진
-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 전세계 3위” 어떻게 모았나
- 이번엔 20번대 줄번호 로또 1등 36명, 당첨금 각 8억20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