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 손님 없어서 걱정했는데”…해외선 입구부터 줄 선다는 이 대형마트
“쿠팡과 네이버,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도 너무 버거운데 규제는 철옹성처럼 남아 있어 살기 위해선 해외로 나갈 수밖에 없다”는 게 유통업계의 토로다. 온라인 공습이 갈수록 거세지는 반면 세계 최강의 규제 환경은 그대로인 한국에서 벗어나 해외에서 성장동력을 찾겠다는 분위기다.
이 같은 몸부림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매출과 수익성 모두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국내 성적과 대조된다. 2021년 1조2100억원이었던 롯데마트의 해외 매출은 지난해 1조4970억원으로 늘어났다. 3년 새 23.7% 성장세를 기록했다. 수익성 확대는 더욱 놀랍다. 2021년 50억원 규모였던 해외 영업이익은 지난해 478억원으로, 3년 새 10배 가까이 급증했다.
롯데마트의 해외사업 급성장은 K푸드 등 한류 콘텐츠의 영향력이 커졌고, 이를 오프라인 점포에서 구현하는 전략이 통한 결과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롯데마트 간다리아시티점 입구에는 즉석조리 매장 ‘요리하다 키친’, 직영 베이커리 ‘풍미소’, 자체 피자 브랜드 ‘치즈앤드도우’ 등이 들어서 있다. 현지 주 구매층은 구매력이 높은 중상위 젊은 층이다.
매장 한쪽에는 K푸드만 전문적으로 모아놓은 구획이 따로 있다. 과일의 천국으로 알려진 동남아시아 지역임에도 한국산 ‘설향 딸기’ 등은 항공편으로 공급하면 날개 돋친 듯 팔린다. 현지 소득수준 대비 가격이 매우 높지만 일종의 ‘스몰 럭셔리’로 인기가 높다.
이 전략이 성공하자 롯데마트는 최근 쿠닝안시티점을 두 번째로 그로서리 전문점으로 재단장해 오픈했다. 이 같은 주요 점포들은 10%대 이상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마트는 ‘치즈앤드도우’와 자체 카페 브랜드 ‘코페아(Koffea)’ 등을 프랜차이즈화해 현지의 다른 쇼핑몰에 입점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K푸드 브랜드 자체가 흥행 카드가 되는 셈이다.
‘과일의 왕국’이라는 동남아 지역에서 K문화 열풍에 한국 과일이 항공편으로 수출되기에 이르렀다. 이 점포에서 지난해 12월~올해 2월 겨울 동안 과일 매출 1위는 한국산 딸기가 차지했다. 복숭아·딸기처럼 한국 과일의 품질이 높고, 현지인의 거부감이 낮다.
현지의 이온몰이나 피크몰 등 인기를 끄는 점포에서도 미식 공간을 대폭 늘리고 체험형 요소를 가미하는 전략으로 매장을 하나둘 재구성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 속에 동남아에서 롯데마트의 해외 사업은 탄탄하게 성장 중이다. 2008년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 처음 진출한 롯데마트는 현재 총 64개(베트남 16개, 인도네시아 48개) 해외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도매상을 주로 취급하는 창고형 할인점으로는 현지 1위, 소매 마트에서는 현지 3위 규모의 업체다. ‘차이나 머니’를 등에 업은 현지 업체들의 장악력이 강한 현지에서 외국 유통기업으로서는 독보적인 존재감이다.
롯데쇼핑은 올해 상반기 안에 동남아 사업을 총괄하는 인터내셔널헤드쿼터(iHQ) 조직을 신설할 예정이다. 롯데는 백화점·마트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양국에서 지난해 1조612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2021년 1조2630억원에서 불과 3년 새 27.7% 증가한 수치다. 롯데쇼핑은 2030년까지 해외 사업의 매출을 3조원 이상으로 키우겠다는 목표다.
백화점도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롯데백화점은 자카르타 롯데몰에서 오프라인 유입이 활발한 SPA 브랜드와 팝업스토어를 유치하고 있다. 도시 전역에 100개 이상의 쇼핑몰이 흩어져 있는 자카르타 특성상 집객력이 강한 콘텐츠를 만들어 임대수익을 높여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대표적으로 현지 롯데몰은 당국과 협의를 거쳐 매장 내부에 ‘대한민국 비자신청 센터’를 들였다. 현지에서 한국 여행을 원하는 이들이 쇼핑몰에서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게 하면 편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현지 롯데몰 관계자는 “일본 등 현지의 여행 수요가 높은 국가와 협의해 비자발급센터를 추가로 입점하고, 한국식 팝업스토어 등도 계속 선보일 예정”이라며 “SM과 협업해 조성한 ‘광야’ 등 한류 콘텐츠 공간을 비롯한 체험형 공간을 다양하게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돌려막아도 역부족”…13년 장수 프로그램 하차 소식 최은경, 깜짝근황 - 매일경제
- 하회마을 코앞까지 닥친 '괴물산불'…안동시, 주민대피 명령 - 매일경제
- [속보] 청송서 60대 여성 소사상태 발견…경찰 “산불 사망 추정” - 매일경제
- [속보] 법무부 “안동교도소·경북북부교도소, 이감 절차 진행 중” - 매일경제
- 정의선 “美에 31조원 투자”...트럼프 “현대차, 관세 없다” - 매일경제
- 밤에 길가던 20대 여성 성추행 시도한 현역장교, 알고보니 - 매일경제
- [속보] 안동시 “전 시민 안전한 곳으로 대피” - 매일경제
- [속보] 홍명보호, 요르단과 1-1 무승부…월드컵 본선행 조기 확정 실패 - 매일경제
- [속보] 명일동 싱크홀 매몰자 심정지 상태로 발견 - 매일경제
- 배지환, 시범경기 최종전 볼넷에 득점...타율 0.381-득점 리그 공동 5위로 마무리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