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토막 해상운임에도 웃지 못하는 수출업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속 하락 중인 해상운임이 이달 1월 초 대비 절반가량 떨어졌다.
수출 기업에겐 해상 운임만 보면 가격 하락으로 호재일 수 있으나, 수요 감소에 따른 물동량 축소로 현지 시장 측면에선 악재라는 분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관세 전쟁 여파에 경기침체 겹쳐
물품가격 상승·수요 감소 등 초래
업계 “당분간 소비 증가 어려울 듯”
지속 하락 중인 해상운임이 이달 1월 초 대비 절반가량 떨어졌다. 수출 기업에겐 해상 운임만 보면 가격 하락으로 호재일 수 있으나, 수요 감소에 따른 물동량 축소로 현지 시장 측면에선 악재라는 분석이다.
글로벌 해상운임과 한국발 해상운임이 모두 하락한 데에는 장기적인 경기 침체와 미국발 관세 전쟁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현지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물동량이 줄어든 탓이 크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앞서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2026년 전 세계 해운 수요가 10%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또한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2017년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율은 전년 대비 5.7%였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기 임기 때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 후인 2018년에는 4.4%, 2019년에는 2.2% 줄었다. 여기에 홍해 사태 장기화로 수에즈운하 통행이 어려워지면서 유럽행 운항이 줄어든 점도 해상운임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배를 통한 물류비가 저렴해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수출 기업에게 유리한 상황은 아니다. 미국발 관세 전쟁 등으로 현지 물품 가격 상승과 그로 인한 수요 감소가 도미노처럼 연결돼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스마트폰의 교체 등 전 세계적으로 경기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모멘텀)이 없기 때문에 소비가 늘어날 가능성도 작다.
한국해양진흥공사 관계자는 “해상운임 하락은 수출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그전에 현지 수요가 있는지 없는지가 가장 중요하다”며 “물동량도 적고 현지에서 물건이 팔릴 것이라는 기대심리도 많이 줄어들었고, 트럼프 대통령 당선 전에 물량 밀어내기를 했기 때문에 당분간 현지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기 힘들다”고 전했다.
미국의 중국 견제로 한국 해상운송 업계 호재에 대해 “중국 선사 등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규정 추진에 따라 한국 선사에 대한 수요가 늘어 한국발 해상운임이 상승할 수 있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 등으로 수요 자체가 많지 않을 것”이라고 그는 전망했다.
이복진 기자 bo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아빠 유전자 5% + 엄마 미모 몰빵…개그맨 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상대 누군가 했더니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