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보고 있나? 흑석이 30억 부른대” 뛰는 호가 속 매물 쏙 들어간 동작·마포 [부동산36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전체 아파트를 24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가운데 동작·마포·성동 등 인근 지역에서는 호가 상승에 따른 관망세가 짙어지는 분위기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서반포'라는 별칭과 함께 강남4구로 불리는 동작구 흑석동의 대장아파트 아크로리버하임의 한강 조망 전용 84㎡ 호가가 30억원~31억원에 달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포 집주인 태도 돌변 “가을에 팔게요”
“강남3구 밖 ‘한강변’ 경쟁 치열해질 것”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여기가 한강뷰라도 30억 부르던 곳은 아니거든요. 집주인들이 ‘이 가격에 살 사람은 사라’ 식으로 간 보는 것 같아요. 매물은 실종되고 호가는 날뛰네요.” (동작구 흑석동 공인중개사 A씨)
“지난주에는 워크인(예약없이 직접 방문)도, 전화도 거침없이 왔는데 오늘(24일)은 조용하네요. 집주인들 태도가 달라진 영향 같아요. 1000만원 정도 깎아달라고 했더니 역정 낸 분도 있어요.” (마포구 공덕동 공인중개사B씨)”
서울시가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전체 아파트를 24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가운데 동작·마포·성동 등 인근 지역에서는 호가 상승에 따른 관망세가 짙어지는 분위기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서반포’라는 별칭과 함께 강남4구로 불리는 동작구 흑석동의 대장아파트 아크로리버하임의 한강 조망 전용 84㎡ 호가가 30억원~31억원에 달한다. 아크로리버하임은 지난해 말 21억~23억원에 거래되며 당시 최고가(27억5000만원(12층)) 대비 15~20% 떨어졌지만 현재는 가격이 회복됐다. 이달 1일에는 같은 평형 한 매물이 26억5000만원(11층)에 거래된 가운데 급매물 가격도 23억원에 이른다.
중개사무소들은 2월 잠실·삼성·대치·청담 일부 지역의 토허제 해제 이후 흑석동의 호가가 무리하게 오른 측면이 있다고 입을 모은다. 공인중개사 A씨는 “3월 초에 흑석자이 전용 84㎡가 19억3500만원에 나갔다는 얘기를 들었다”면서 “여기가 평지도 아닌 고지대인데 19억대인 게 정상가로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난 2월 17일 18억7500만원(16층)에 손바뀜한 흑석자이 국평의 현재 호가는 19억~20억원이다.
마포구 또한 호가가 뛰고 있다. 해당 지역 공인중개사들의 설명에 따르면 토허제 재지정 시작 직전인 지난 토요일에는 줄을 서서 집을 볼 정도로 매수인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공덕동의 한 중개사무소 관계자는 “토요일 오전에 한 집을 4팀이 봤다”면서 “공덕래미안5차 국평 나온 게 가격이 18억5000만원에서 19억원으로 올라갔는데 매수인들은 기분 나빠하지만 과감한 베팅에는 선뜻 나서지 않는 느낌”이라고 했다.
오히려 집주인들 중에서는 매도 시기를 반년 후로 미루는 경우도 있다. 마포구 공덕동의 공인중개사 C씨는 “마포프레스티지자이 한 집주인은 매물을 거두면서 ‘(9월 지나) 가을에 연락주겠다’고 하더라”며 “래미안푸르지오, 마포더클래시에서도 원래 불렀던 가격에 매수자가 막상 나타나도 매도자가 계좌 오픈을 안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전문가는 과열로 인해 규제지역 확대를 우려한 수요가 마포구, 동작구 등으로 몰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윤지해 부동사R114 팀장은 “강남 쪽 쏠림 현상이 심해지면서 향후 규제 지역으로 묶여 진입 또는 매매가 어려워질 것으로 판단하는 기존 대기 수요가 움직이는 것”이라며 “강남3구를 바라보던 사람들이 갑자기 강동구나 동작구로 눈길을 옮기는 시점이라고 보기엔 이르기 때문에 수요 변화에 대한 면밀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한강뷰의 희소성을 누가 먼저 차지 하냐를 두고는 강남3구를 넘어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며 “자산가들 사이에서는 전망 특수성을 가지면서 매물화가 쉽지 않아 환금성까지 좋은 물건을 타 지역까지 가서 찾는 움직임이 있다”고 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서 “XX” 욕설…쇼호스트 정윤정, 2년 만에 복귀
- “극장에 0명이라니” 3700억 썼는데 흥행 참패, ‘초유의 상황’ 무슨 일
- 머스크 성전환 딸 “머스크는 한심한 애같은 남자…연관시키는 것도 짜증나”
- “난 동성애자, 자랑스러워”…하이브 걸그룹 멤버 ‘커밍 아웃’
- 죽순 먹다 ‘덜덜’ 격리됐던 푸바오, 넉달 만에 외부 공개…“몸 아주 좋아져”
- 최동석·박지윤, 오늘 만날까?…‘상간 맞소송’ 3차 변론기일
- 백종원, 이번엔 “유명 굴소스에 물 타서 판다” 논란…“사실과 달라” 해명
- 가세연 “김새론, 한달 만에 임신·낙태 불가능”…“김수현 크게 걸렸다” 추가 폭로 예고
- 아이유, 멜론에서 20년간 최다수록 아티스트…최다수록곡은 폴킴 ‘모든 날, 모든 순간’
- 서장훈, 서로 폭행 ‘한일 부부’에 “이혼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