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말 은행권 부실채권 14.8조…4년 반 만에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작년 4분기 은행권 부실채권 규모가 14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12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은 3분기 대비 3000억원 증가한 14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5조8000억원으로 전분기(5조1000억원) 대비 7000억원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12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은 3분기 대비 3000억원 증가한 14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2020년 2분기(15조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되면서 회수 가능성이 낮은 부실대출을 뜻한다.
부실채권 비율은 0.53%로 전분기말(0.53%) 수준이다.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5조8000억원으로 전분기(5조1000억원) 대비 7000억원 증가했다. 전년 동기(5조7000억원)과 비교하면 1000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 중심으로 기업여신 신규 부실 채권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4조3000억원으로 전분기(3조7000억원) 대비 6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대기업(6000억원) 신규부실은 전분기 대비 2000억원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은 전분기(3조3000억원) 대비 5000억원 증가했다.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같은 기간 1000억원 증가해 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당국은 국내은행 부실채권비율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말(0.77%) 대비 낮은 상황이라며 지금 당장 위급한 상태는 아니라고 진단했다. 다만 “향후 경기회복 지연 및 주요국 정책 불확실성 등 대내외 불안 요인이 지속되고 있다”며 “부실채권 상・매각 등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하는 한편, 신용손실 확대에 대비해 대손충당금 적립을 확대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정의선 “美에 31조원 투자”...트럼프 “현대차, 관세 없다” - 매일경제
- [속보] 명일동 싱크홀 매몰자 심정지 상태로 발견 - 매일경제
- ‘삼성TV 세계 1위 주역’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부회장 별세 - 매일경제
- “스팸문자 진짜 차단한다고?”… 갤럭시 S25부터 적용한다는데 - 매일경제
- “기장인데 여권이 없네”…2시간만에 6천만원 날린 ‘황당 회항’ - 매일경제
- “너무 많이 당한다”...노인 ATM 사용 제한 검토하는 이 나라, 무슨 일 - 매일경제
- ‘19년연속 삼성TV 세계 1위 주역’...한종희 부회장 심장마비로 별세 - 매일경제
- 헌재, 尹 탄핵 한달째 ‘숙고’...“26일까지 선고일 발표 못하면 내주로” - 매일경제
- “日 스타벅스선 65세까지 일할수 있는데”...59세 바리스타가 잠못드는 까닭은 - 매일경제
- 배지환, 시범경기 최종전 볼넷에 득점...타율 0.381-득점 리그 공동 5위로 마무리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