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윤석열 불법 계엄 뒤 용산·국힘 출신 알박기 인사 106명”

엄지원 기자 2025. 3. 25. 11: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2·3 내란사태 이후 윤석열 정부의 공공기관 '알박기 인사'가 100명을 넘어섰다는 주장이 나왔다.

진 의장은 "내란으로 대통령 직무가 정지됐는데도 국정 혼란을 틈타 무자격 측근 채우기에 혈안"이라며 "민주당은 알박기 인사 재발 방지를 위해 대통령과 공공기관장 임기를 일치시키는 공공기관운영법을 개정할 것이라는 걸 이미 천명한 바 있다"며 "알박기 인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왼쪽)와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25일 서울 광화문광장에 설치한 천막당사에서 회의를 열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12·3 내란사태 이후 윤석열 정부의 공공기관 ‘알박기 인사’가 100명을 넘어섰다는 주장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은 재발 방지를 위해 대통령과 공공기관장의 임기를 일치시키는 ‘공공기관운영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25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 설치한 천막당사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임박하자 정부 알박기 인사가 더욱 노골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비상계엄으로 대통령 직무가 정지된 윤석열 정권이 반성은커녕 훈장 주듯 내란 동조 세력에게 한자리씩 챙겨줄 작정인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불법 계엄 이후 우리 당이 파악한 알박기 인사만 해도 15개 기관 63명 임명, 41명 공모중으로 100명을 훌쩍 넘는다”며 “하나같이 자격과 전문성이 검증 안된 깜깜이 인사들로, 대통령실에 있었다거나 국민의힘 명함 하나 갖고 공공기관장 자리에 졸속으로 내리꽂히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정권 알박기 인사현황.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제공

이날 민주당 정책위가 공개한 윤석열 정부의 알박기 인사 현황을 보면,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이후 지난 21일까지 정부 산하기관에서 진행된 인사는 모두 106명이다. 국토교통부 산하기관이 38명으로 가장 많고, 중소벤처기업부 9명, 금융위원회 8명, 환경부 6명, 고용노동부 6명, 문화체육관광부 6명 등이다.

국민의힘 중랑갑 당협위원장을 지낸 김삼화 전 의원은 지난 17일 여가부 산하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에 임명됐고, 같은 날 임명된 전지현 양육비이행관리원장(여가부 산하)은 대통령실 행정관 출신이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안전관리원 등 국토교통부 산하 기관들에는 여당의 전직 지방의원들이나 당협위원장 여럿이 자리를 꿰찼다. 또 최춘식 전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1월20일 석유관리원 이사장에 취임했고 이은권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은 가스기술공사 사장에 내정됐다.

지난달 3일 취임한 임상준 환경공단 이사장은 대통령실 첫 국정과제비서관을 지냈고, 5일 취임한 허성우 한국교육시설안전원 이사장은 대통령실 국민제안비서관 출신이다. 지난달 28일 취임한 유종필 창업진흥원 원장은 국민의힘 관악갑 당협위원장 출신이다.

진 의장은 “내란으로 대통령 직무가 정지됐는데도 국정 혼란을 틈타 무자격 측근 채우기에 혈안”이라며 “민주당은 알박기 인사 재발 방지를 위해 대통령과 공공기관장 임기를 일치시키는 공공기관운영법을 개정할 것이라는 걸 이미 천명한 바 있다”며 “알박기 인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