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자동차·반도체 추가 관세, 상호관세보다 빨리 낼 수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2일 상호관세 조치를 공식 발표하기에 앞서 자동차 등에 대한 개별 품목 관세를 먼저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열린 현대차그룹의 미국 투자 발표 행사에서 "며칠 내에 자동차, 목재, 반도체 등에 대해 추가 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이들 관세는 상호관세 발표보다 앞서 시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2일 상호관세 조치를 공식 발표하기에 앞서 자동차 등에 대한 개별 품목 관세를 먼저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열린 현대차그룹의 미국 투자 발표 행사에서 “며칠 내에 자동차, 목재, 반도체 등에 대해 추가 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이들 관세는 상호관세 발표보다 앞서 시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자동차도 할 것이다. 우리는 아마도 향후 며칠 내, 상당히 이른 시일 내에 발표할 것”이라며 “그리고 4월 2일이 오면 상호 관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상호관세 대상국가와 관련해 “많은 국가에 면제를 줄 수 있다”며 “상호적이지만 상대국보다 더 적게 부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들이 미국에 너무 높은 관세를 매기기 때문에, 똑같이 되갚으면 상대국이 감당하지 못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각료회의에서도 자동차뿐 아니라 의약품 등에 대해 이른 시일 내에 관세 부과 방침을 내놓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개별 품목 관세 방침을 밝히며 관세율로 25%를 제시한 바 있다.
베네수엘라산 석유를 수입하는 국가들에 대해 다음 달 2일부터 추가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관세에 더해지는 것”이라고 밝히며 중국 제품에도 동일하게 추가 관세가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베네수엘라 원유를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중국이며 인도와 스페인, 미국이 그 뒤를 이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번 조치가 시행될 경우, 중국산 제품에 대한 총 관세율은 45%에 달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워싱턴/김원철 특파원 wonchu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검찰 “오세훈 측근, 시장 선거 당일도 명태균 만나” 진술 확보
- 의성 산불 밤새 더 커졌다…진화율 55%로 떨어져
- 명일동 대형 싱크홀에 빠진 오토바이 실종자…안엔 토사·물 2천톤
- 현대차, 미국에 30조원 투자…트럼프 “관세 효과 입증”
- 트럼프는 이제 패권에 관심 없다…대외정책 주류 된 ‘자제론자’
- 한덕수 ‘파면’ 의견 정계선 “재판관 임명 거부는 윤 탄핵심판 방해”
- 강풍 올라탄 산불…바짝 마른 산림에 안동·양산도 위험
- 의성 산불 ‘초속 15m’ 강풍 타고 안동 덮쳤다…주민 대피령
- “남태령에 맞불집회” 충돌 우려…법원 “트랙터 평화행진 금지”
- 외신, 김건희에 “살해 욕구 드러내”…‘이재명 쏘고 자결’ 발언 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