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니엑셀’ 첫발 이후 39년… 현대차-기아 美판매 3000만대 눈앞

김형민 기자 2025. 3. 25.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전통의 자동차 산업 강국이 주름잡던 1986년 미국 시장에 한국산 '포니엑셀'이 처음 등장했다.

2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포니엑셀의 미국 시장 진출 이후 39년 만인 올해 현지 누적 판매량 3000만 대를 앞두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는 일찌감치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해 나갔다.

현대차·기아는 1990년까지 미국 시장에서 100만 대를 판매했고, 2011년에는 1000만 대를 넘어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판매 1년만에 수입 소형차 1위
적극적 현지화로 시장 입지 다져
연내 3000만대 대기록 작성할 듯
“트럼프 관세, 현지 생산으로 극복”

미국, 유럽, 일본 등 전통의 자동차 산업 강국이 주름잡던 1986년 미국 시장에 한국산 ‘포니엑셀’이 처음 등장했다. 현대자동차의 독자 기술로 처음 양산한 포니의 후속 모델로 포니를 넘어선다는 의미를 담아 ‘엑셀(Excellent)’을 붙였다.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최대 격전지인 미국에서 포니엑셀의 성공을 예상하는 사람은 드물었다. 하지만 당시 판매가 5000달러로 가성비를 장착한 포니엑셀은 수출 2년 차인 1987년 한 해 26만3610대가 팔리며 미국 수입 소형차 부문 연간 판매 순위 1위에 올랐다.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만들어지던 포니엑셀은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됐다.

● 포니엑셀 진출 39년 만에 3000만 대 고지 눈앞

2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포니엑셀의 미국 시장 진출 이후 39년 만인 올해 현지 누적 판매량 3000만 대를 앞두고 있다. 올해 2월까지 총 2930만3995대를 팔아 3000만 대까지는 약 70만 대가 남았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진출기는 성공적이었지만 그 과정이 녹록지만은 않았다. 까다로운 미국의 안전 테스트와 배기가스 규제 인증을 통과하기 위해 별도의 미국 기술연구소까지 설립해야 했다. 그 결과 1986년 1월 미국 환경보호청 배기가스 환경 인증을 통과했고, 포니엑셀은 국산차 중 처음으로 미국 수출길에 오를 수 있었다.

현대차와 기아는 일찌감치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해 나갔다. 기아는 1992년 미국 판매법인을 설립한 뒤 1994년 세피아, 스포티지를 판매하며 초석을 다졌다. 이어 2005년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2010년 기아 조지아 공장을 설립하며 미국 현지 생산 체계를 마련했다.

그 결과 현대차그룹은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 제너럴모터스(GM), 도요타 등 기존 미국 시장을 장악한 완성차 업체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었다. 현대차·기아는 1990년까지 미국 시장에서 100만 대를 판매했고, 2011년에는 1000만 대를 넘어섰다. 7년 만인 2018년에는 2000만 대를 돌파했다. 지난해에는 GM, 도요타, 포드에 이어 2년 연속 판매량 4위를 차지했다.

● 美 생산기지 가동률 끌어올려 위기 정면 돌파

올해 미국 시장은 현대차그룹에 위기이면서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가 내달 2일 시행을 앞두고 있고 자동차 등에 부과되는 품목 관세도 조만간 발표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미국 외 생산 차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는 셈이다.

현대차그룹은 현지 생산 체계를 강화해 관세 부과에 대응할 방침이다. 특히 26일(현지 시간) 준공식을 앞둔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중심으로 연간 현지 생산량을 120만 대 수준까지 끌어올리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제네시스, 친환경차를 전면에 내세워 미국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로 했다. 경쟁사인 GM과 포드, 도요타 등이 생산기지를 멕시코와 캐나다로 옮긴 상황에서 미국 내 생산 역량이 상대적으로 탄탄한 현대차와 기아가 비교 우위에 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제품군을 확대하고 상품성을 높여 미국 시장을 공략하고, 지난해 10월 양산을 시작한 HMGMA에서 전기차 외에도 하이브리드차를 생산해 급변하는 미국 시장에 빠르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했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