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운용본부 공사화·기금 분할 등으로 전문성 높여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최대 수준으로 성장할 국민연금이 덩치에 걸맞은 기금 운용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배구조를 뜯어고쳐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발전전문위원회 한 위원은 "자산 배분 전문성을 강화하지 않으면 프런트에서 투자팀이 아무리 애를 써도 수익률을 높이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부안은 운용조직에 위임해야
세계 최대 수준으로 성장할 국민연금이 덩치에 걸맞은 기금 운용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배구조를 뜯어고쳐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다. 수익률의 90% 이상을 좌우하는 자산 배분 방식을 개혁하는 한편 최고투자책임자(CIO)의 임기를 늘려 장기투자에 맞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올해부터 대체투자에 ‘기준 포트폴리오’를 적용한다. 기준 포트폴리오는 기금이 장기적으로 감내해야 할 위험 수준을 명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는 기준포트폴리오로 위험자산 65%, 안전자산 35%를 제시했다.
하지만 기준 포트폴리오 도입 취지를 제대로 살리려면 현재 기금운용위원회가 움켜쥐고 있는 자산 배분을 전문가에게 완전히 위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현재는 권한과 책임이 분명하지 않아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 배분은 ‘잘해도 그만, 못해도 그만’인 역할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발전전문위원회 한 위원은 “자산 배분 전문성을 강화하지 않으면 프런트에서 투자팀이 아무리 애를 써도 수익률을 높이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금운용 지배구조를 대폭 손봐야 한다. 이상적인 방안은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처럼 기금운용본부를 공사화하거나 스웨덴처럼 기금을 분할하는 것이다. 캐나다연금은 위험 한도를 감안해 ‘글로벌 주식 85%, 캐나다 국채 15%’의 기준 포트폴리오를 마련해놓고 운용조직인 CPPIB가 그에 맞춰 다변화한 자산배분 전략을 짠다. 기금을 분할하면 각 기금의 운용조직이 기준 포트폴리오를 반영한 나름의 자산배분 전략을 통해 경쟁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국민연금의 한 관계자는 “이번 모수개혁으로 국민연금의 투자 주기가 더욱 장기화됐다”며 “현재 ‘2년+1년’인 CIO 임기를 선진 연기금처럼 대폭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경진/김리안 기자 mi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급매물은 주말에 다 팔렸어요"…32억하던 아파트, 3억 빠졌다
- "박보검 인터뷰도 취소됐어요"…삼청동 상인들 '망연자실' [현장+]
- "없어서 못 사" 야구 팬들 열광하는데…롯데만 쏙 빠진 이유
- "국민연금 내야 할 때 안 냈다"…갑자기 '슈카' 등장한 이유는
- 산불로 난리인데…소방헬기 향해 '샷' 날린 女골퍼
- '1500원 아아'만 마시더니…메가커피·빽다방 일냈다
- "더 이상은 못 버틴다"…스타벅스 이어 투썸마저 결국
- '고등어 구이' 즐겨 먹었는데…마트 갔다가 '뜻밖의 상황'에 깜짝
- 中, 한참 멀었네…"한국 최고" 美서 1위~10위 싹쓸이한 K제품
- "박사 학위 땄는데 月 200만원, 못 참고 한국 떠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