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6개월 '공동주택 하자' 가장 많은 건설사는 '한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6개월간 공동주택(아파트·오피스텔) 하자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한화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신청된 공동주택 하자 처리 현황과 올해 상반기 하자판정 결과 상위 건설사 현황을 24일 공개했다.
올해 시공능력평가 10위 안에 든 건설사 중에선 현대건설과 대우건설(하자 판정 14위) 두 곳이 최근 6개월간 하자 판정 건수 상위 20위에 포함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6개월간 공동주택(아파트·오피스텔) 하자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한화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신청된 공동주택 하자 처리 현황과 올해 상반기 하자판정 결과 상위 건설사 현황을 24일 공개했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하심위)로부터 가장 많은 하자 판정을 받은 건설사는 한화로, 세부 하자 판정 건수가 97건이었다.
한화는 총1091가구 중 97건의 하자가 발생해 하자 판정 비율이 8.9%였다.
이어 현대건설이 81건으로 2위, 대우조선해양건설은 80건으로 3위였다. 두 건설사의 하자 판정 비율은 각각 0.8%, 5.0%로 나타났다.
4-5위로는 한경기건(79건)과 삼부토건(71건)이 뒤를 이었다.
올해 시공능력평가 10위 안에 든 건설사 중에선 현대건설과 대우건설(하자 판정 14위) 두 곳이 최근 6개월간 하자 판정 건수 상위 20위에 포함됐다.
2020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5년간 하자 판정 건수는 GS건설이 1위로 집계됐다. 세부 하자 수는 1458건, 하자 판정 비율은 4.0% 였다.
5년간 하자 판정 2위는 계룡건설산업(603건·하자 판정 비율 7.5%), 3위는 대방건설(507건·3.2%), 4위는 대명종합건설(349건·13.0%), 5위는 SM상선(322건·22.5%)이었다.
국토부는 주택 공급 물량이 많은 건설사에 하자 판정 건수가 많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에 따라 하자 판정 비율이 높은 상위 건설사를 함께 공개하고 있다.
최근 6개월간 하자 판정 비율 1위는 8가구에서 64건의 하자가 나와 하자 판정 비율 800%를 기록한 삼도종합건설로 나타났다.
2-5위는 서해종합건설(650%), 아이온산업개발(333%), 한경기건(172%), 라임종합건설(150%)이다. 상위권에 이름을 올린 곳 대부분 공급 가구 수가 50가구 미만인 소규모 업체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위권 건설사 중에선 삼부토건이 하자 판정 비율 20.6%로 8위를 기록했다. 한화(8.9%)는 11위, 우미건설은 18위(3.2%)였다.
5년간 하자 판정 비율은 지우종합건설이 2660%로 가장 높았고, 삼도종합건설(1687.5%), 혜성종합건설(1300%), 백운종합건설(741.7%), 지향종합건설(732.6%) 순이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명단 공개 이후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하자보수에 적극 대응함에 따라 하자분쟁 사건이 상당히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명단 공개는 실효적 조치"라며, "국민의 알권리를 강화하고 건설사가 품질개선을 도모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하자 관련 자료를 지속 투명하게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6개월 단위로 하자가 많은 건설사를 공개하고 있으며, 이번이 네 번째 발표다.
#세종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 옷 하나 사러 대전·청주로 원정… "세종에선 잠만 자요" - 대전일보
- 충청권 4·2 재보궐선거…민주 2곳·국민의힘 1곳 당선 - 대전일보
- 오세현 민주당 아산시장 후보, 2년 9개월여 만에 아산시장 복귀 - 대전일보
- 대전서 열린 반 고흐展, 5일 만에 1만 명 돌파… 대표작 76점 한 자리에 - 대전일보
- 권성동, 박지원 '4월 4일 사시' 발언에 "정치인이 무당 노릇하며 살 날리나" - 대전일보
- 4·2재보궐선거에서 드러난 '충청인의 민심' - 대전일보
- '美 25% 상호관세' 현실화…통상전쟁 시작됐다 - 대전일보
- 최태원 "中 AI·제조업 한국 앞서…쫓아가지 못할지도" - 대전일보
- 尹대통령, 내일 탄핵심판 선고기일에 불출석한다… "혼잡 우려" - 대전일보
- 징검다리 시정 복귀 오세현 아산시장, '새 바람' 기대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