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돈 만지려고 퇴직했는데...” 50대 이상 자영업 사장님 절반, 최저임금도 못 벌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임금근로자로 일하다가 자영업으로 전환한 50세 이상 사장의 절반 가량은 월 소득이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조기 퇴직자들이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임금근로 일자리 부족 등으로 생계형 창업을 하지 않도록 고령자의 재취업 지원을 더 확대해야 할 것"이라며 "생계를 위해 자영업을 하지만 월 최저임금도 벌지 못하는 자영업자의 경제적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자의 자영업 이동과 저임금 노동’ 보고서는 한국복지패널 제1차(2006년)∼18차(2022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1∼17차 조사에서 1년 이상 임금근로자였던 사람 가운데 2022년 18차 종사자에서 자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추려봤더니 이중 50세 이상이 58.8%(269명)였다.
월급을 받다 퇴직한 고령자에게 자영업이 일자리 대안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유통서비스업과 소비자서비스업의 ‘생계형 자영업자’가 절반이 넘는 53.8%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일자리를 떠난 고령자들이 재취업은 어려운 만큼 손쉽게 창업할 수 있으나 부가가치 및 수익성이 낮은 생계형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50세 이상 사업주 가운데에는 고용원이 없는 ‘나홀로 사장님’이 83.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전체 자영업자 가운데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비율인 75.6%보다 높았다.
소득 수준을 보면 자영업에 진입한 지 오래된(임금근로기간이 짧은) 고령자와 자영업에 진입 직전까지 임금근로자로 오래 일한 고령자의 사업소득이 다소 높았다.
창업 전 임금 근로 기간이 1∼3년인 고령 자영업자의 평균 월 소득은 338만7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16∼17년이 333만7000원으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최근 3개월간 정규직 근로자 평균 임금인 379만6000원에 미치지 못했다.
창업 전 임금 근로 기간이 7∼9년인 고령 자영업자의 월 소득은 202만9000원에 그쳤다. 10∼12년은 188만6000원에 불과해 가장 낮았다.
보고서는 “이 같은 결과는 자영업이 임금 근로를 대신할 수 있는 좋은 일자리로 보기 어려우며, 임금 근로 경력이 자영업의 경제적 성과에 도움이 된다고 보기도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고령 자영업자의 평균 48.8%는 소득이 월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운영하는 자영업과 동일 산업에 종사한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창업한 고령자의 순소득은 144만3000원이었고, 저임금 근로율도 82.9%로 높았다.
아울러 생계형 자영업자의 순소득은 225만2000원이고, 비생계형 자영업자는 343만2000원으로 120만원가량 차이가 났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의 사업 순소득은 227만6000원으로, 고용원이 있는 경우(541만9000원)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사업소득이 낮아 종사자를 고용할 수 없고. 혼자 사업하다 보니 영업이익을 내기 어려운 것으로 풀이된다.
연령별로 보면 50대의 소득은 380만2000원이었다. 반면 60세 이상은 143만1000원으로 더 낮았고, 저임금 근로 비율은 75.8%였다. 특히 60대 영세자영업 비율은 61.1%이고, 70세 이상은 89.7%로 치솟았다.
보고서는 “조기 퇴직자들이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임금근로 일자리 부족 등으로 생계형 창업을 하지 않도록 고령자의 재취업 지원을 더 확대해야 할 것”이라며 “생계를 위해 자영업을 하지만 월 최저임금도 벌지 못하는 자영업자의 경제적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국민연금 월200만원은 男 얘기”...40만원도 못 받는 여성 가입자들 계속 늘어 - 매일경제
- “쉬고싶은데, 아내가 계속 일하라는 말 들을걸”...은퇴 후 놀면 우울증·뇌졸중 확률 커진다 -
- “내 인생 망할 생각하고 말하겠다, 별로다”...이하늘 또 지드래곤 ‘저격’ 대체 무슨 일 - 매
- “너무 행복했고 감사”...‘한끼 42만원’ 안성재 식당 재오픈하자마자 방문한 여배우 - 매일경
- 평택 반도체 풀가동에 … 45층 배후단지도 수혜 - 매일경제
- [속보]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서울대입구 운행재개 - 매일경제
- “세상에, 세탁기 뚜껑에 다 찍혔네”...37분간 성범죄 딱 걸린 20대 - 매일경제
- “나는 도대체 몇 %야?”...30억 자산 있어야 ‘상위 1% 부동산 부자’라는데 - 매일경제
- “된장국에 죽은 쥐가”...일본 최대 소고기 덮밥 체인점, 뒤늦게 사과 - 매일경제
- 개막전서 쓰러진 김도영, 왼쪽 햄스트링 손상…짜릿한 재역전승에도 KIA는 웃지 못했다 - MK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