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파병 우려'⋯유엔 인권이사회, 北 인권결의안 초안 공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는 4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채택될 북한인권결의안에 러시아 파병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담은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23일 유엔 인권이사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폴란드(유럽연합 대표국)와 호주는 북한인권결의안 초안을 지난 20일(현지시간) 제출했다.
이는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에 대규모 파병을 감행한 북한 정권에 대한 비난을 초안에 우회적으로 담은 것으로도 해석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정유림 기자] 오는 4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채택될 북한인권결의안에 러시아 파병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담은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23일 유엔 인권이사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폴란드(유럽연합 대표국)와 호주는 북한인권결의안 초안을 지난 20일(현지시간) 제출했다. 초안에는 "북한이 국경과 기타 지역, 특히 민간인 고통을 악화시키거나 인권 침해를 부채질하고 국제 안보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곳에서 치명적이고 과도한 무력을 사용하지 않도록 촉구한다"는 문구가 담겼다.
국경과 기타 지역에서 북한이 무력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은 지난해 북한인권결의안과 동일하다. 다만 무력 사용 금지 촉구 지역에 구체적으로 '국제 안보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곳' 등이 언급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에 대규모 파병을 감행한 북한 정권에 대한 비난을 초안에 우회적으로 담은 것으로도 해석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러시아에 1만1000여명 규모의 병력을 파병했으며 북한군은 우크라이나가 점령한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 배치돼 전투에 참여했다.
한편 이번 초안에는 북한의 두 국가론이 이산가족 문제 상황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내용도 담겼다. 이는 지난해 통과된 유엔 총회 북한 인권 결의를 인용한 것이다. 오는 9월 제60차 인권이사회에서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후속 보고서 제출과 확대 상호대화 개최를 상기한다는 내용도 들어갔다.
/정유림 기자(2yclever@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국 '동시다발' 산불…축구장 '4600개' 면적 불탔다
- [주말엔 운동] 1년간 97㎏ 뺐다는 초고도비만 여성, "하루 10분 '이것'부터 시작"
- 열기 식은 제4인뱅…연내 인가 물 건너가나
- SNS·유튜브 활동하는 '대표님'⋯득? 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尹 "산불로 큰 피해 발생…가용 자산 총동원해달라"
- 2024년 연구개발비 줄어든 네이버⋯"일부 회사 연결 제외 영향"
- [여의뷰] 민주, 30번째 탄핵 발의…'尹 선고 지연'은 최상목 탓?
- 지금은 '어스아워'…남산서울타워, 1시간 소등했다
- "화산재 30㎝ 이상시 피난"…일본, 후지산 분화 대응 지침
- 스도쿠도 못 푸는데 가격은 10배? 오픈AI 최신모델 "기대 이하" [AI 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