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논 휴전도 깨지나…이스라엘, 휴전 이후 최대 규모 공습 단행

선명수 기자 2025. 3. 23. 10: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헤즈볼라 로켓 공격’ 주장
레바논 남부에 두 차례 보복 공습
헤즈볼라 공격 부인 “이, 전쟁 구실 찾아”
22일(현지시간) 레바논 남부를 겨냥한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스라엘이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와 휴전한 지 약 4개월 만에 레바논 남부를 공습했다. 양측의 휴전이 성사된 후 최대 규모 공습으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이어 레바논에서도 어렵사리 성사된 휴전이 깨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스라엘군은 22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지시에 따라 두 차례에 걸쳐 레바논 내 헤즈볼라 무기고와 지휘본부 등을 타격했다고 밝혔다. 레바논 언론에 따르면 이 공습으로 총 8명이 사망했다.

이스라엘은 이번 공습이 이스라엘 접경지역 메툴라 공격에 대한 보복 조치라고 밝혔다. 이스라엘군은 이날 오전 레바논에서 메툴라를 향해 로켓 6발이 발사됐으며, 이 가운데 3발은 레바논 영토에 떨어졌고 나머지 3발은 요격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공격은 휴전 합의에 대한 노골적 위반이자 이스라엘 국민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라고 경고했다. 레바논에서 이스라엘을 겨냥한 공격이 이뤄진 것은 지난해 11월 말 휴전 성사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이스라엘군은 “로켓을 발사한 주체가 누군지는 확인되지 않았다”면서도 이날 헤즈볼라 거점을 집중적으로 공습하며 사실상 헤즈볼라를 공격 주체로 지목했다.

반면 헤즈볼라는 공격 책임을 부인하며 휴전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헤즈볼라는 “레바논 남부에서 ‘점령당한 팔레스타인 영토(이스라엘)’로 발사된 로켓에 어떤 관여도 하지 않았다”며 이스라엘이 레바논에서 전쟁을 재개하기 위한 구실을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레바논 정부와 레바논에 주둔하는 유엔평화유지군(UNIFIL)은 휴전 협정을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 나와프 살람 레바논 총리는 성명을 내고 “레바논은 다시 전쟁으로 돌아가길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레바논군은 협정 위반 사항을 파악하라는 조제프 아운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남부 일대를 수색한 결과 로켓 발사대 3대를 발견해 해체했다고 밝혔다.

레바논 정부군과 함께 남부에 주둔 중인 UNIFIL은 “상황이 극도로 불안정하다”며 “양측 모두 약속을 지켜 달라”고 촉구했다.

앞서 이스라엘과 헤즈볼라는 이스라엘 국경과 접한 레바논 남부에서 양측 모두 병력을 철수하는 조건으로 지난해 11월27일 휴전에 돌입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헤즈볼라가 레바논 남부에 여전히 군시설을 두고 있다고 주장하며 합의한 철수 기한이 지난 후에도 자국군을 철수하지 않고 있다. 휴전 후에도 이스라엘은 레바논 내 5곳에 전초기지를 유지한 채 산발적으로 레바논을 공격해 왔다. 이에 레바논 정부는 유엔에 이스라엘군이 완전히 철군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해달라고 요구해 왔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도 살얼음판 휴전을 이어가다가 지난 18일 교전을 재개하고 가자지구를 연일 폭격하고 있다.

선명수 기자 sm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