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바호족 암호병 2차대전 활약도 다양성 폐기로 삭제됐다 복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국방부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큰 공을 세운 원주민 나바호족 암호병의 자료를 삭제했다가 복구했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국방부는 지난주 초 2차 대전 중 일본 이오지마와 태평양 전역에서 미군의 승리에 중요한 공을 세운 나바호족 출신 암호통신병을 다룬 웹페이지를 삭제했다가 나바호족의 강력한 항의를 받고 3일 만에 복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흑인 야구선수 재키 로빈슨 자료도 복구…일부는 삭제된 그대로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미국 국방부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큰 공을 세운 원주민 나바호족 암호병의 자료를 삭제했다가 복구했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의 후속 조치로 삭제했다가 부족 지도자와 역사학자들의 강한 반발을 부른 것이다.
미 국방부는 지난주 초 2차 대전 중 일본 이오지마와 태평양 전역에서 미군의 승리에 중요한 공을 세운 나바호족 출신 암호통신병을 다룬 웹페이지를 삭제했다가 나바호족의 강력한 항의를 받고 3일 만에 복구했다.
숀 파넬 미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 20일 영상 성명을 통해 DEI 관련 자료를 검토하고 삭제하는 과정에서 일부 실수가 발생했다면서 인공지능(AI) 도구와 기타 소프트웨어의 한계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의 자료복구는 삭제에 큰 충격을 받은 나바호족 등 원주민 부족과 역사학계의 항의에 따라 이뤄졌다.
400여명의 나바호족 암호병 중 한명인 피터 맥도날드(96)는 "나바호 암호는 전쟁을 위한 의사소통 무기였다. 그것은 DEI와 전혀 관련이 없다. 그것은 DEI가 아니라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고 우리가 한 일은 사람들이 알고 배울 수 있도록 존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웹페이지 복구에 안도감을 표시하며 "몇몇 고위 국방부 인사들이 군의 역사를 이해하고 있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나바호족 암호병 중 현재까지 살아있는 사람은 맥도날드를 포함해 2명뿐이다.
미 빌라노바대 역사학 교수이자 20년간 나바호족 암호병을 연구해 온 폴 로지어는 "암호병들은 자신들이 조국에서는 누리지 못했던 자유와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싸웠다"며 "누군가가 그 명예를 부정한다는 사실은 역겨운 일"이라고 정부를 비판했다.
애리조나 북부 거주 나바호족 출신의 암호병들은 고유한 언어로 개발한 복잡한 암호체계를 이용해 통신을 하면서 태평양 전쟁에서 미군이 승리를 거두는데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
미 정부는 2001년 7월 29명의 생존 암호병 출신 나바호 원주민들에게 최고 명예훈장을 수여한 바 있고, 이들의 이야기는 영화 '윈드 토커'로도 널리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도 1기 행정부 첫 해인 2017년 암호병 3명을 백악관으로 초청해 "우리는 여러분이 한 일, 여러분이 한 방식, 여러분이 보여준 용기, 그리고 여러분이 나라에 가진 사랑에 감사드린다"고 공로를 치하한 바 있다.
WP는 1947년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에서 인종 장벽을 허문 첫 흑인 선수이자 2차 대전 참전용사인 전설적인 야구선수 재키 로빈슨과 관련된 자료도 미 국방부 홈페이지에서 사라졌다가 지난 19일 복구됐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오지마 전투에 참전한 전쟁영웅인 피마 인디언 부족 출신 아이라 헤이스 등 일부 인물들의 자료는 22일 현재까지 복구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1993년 첫 여성 전투기 조종사가 된 지니 레빗 등 미군에서 '최초'의 기록을 쓴 여성들의 자료도 삭제된 상태라고 AP통신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후 정부 정책 등에 있어 성별·인종·민족의 다양성을 배려할 것을 권고하는 전임 정부의 DEI 정책을 종료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미 국방부는 지난달 DEI 증진과 관련한 기사와 미디어는 모두 삭제하라고 지시했다.
withwit@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김수현, 내일 기자회견…故김새론 관련 입장 표명 | 연합뉴스
- 경찰 '경북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산림보호법 위반"(종합) | 연합뉴스
- 경찰, 전자발찌 끊고 달아난 40대 남성 추적 중 | 연합뉴스
-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 연합뉴스
- "탄핵 직전 대통령에 빙의"…웹소설판에 등장한 '계엄물' | 연합뉴스
- 전철역 분실 태블릿 주인 찾아주려다…마약 운반책들 '들통' | 연합뉴스
- "죄책감 갖고 살아" 깨진 병으로 제 손목 그어 전연인 협박 30대 | 연합뉴스
- 코인 투자 20대男 개미 '200만 대군'·50대女 억대 보유 눈길 | 연합뉴스
- 술 마신 채 스쿨존서 시속 102㎞ 난폭운전…2심서 형량 늘어 | 연합뉴스
- 청주서 역주행 승용차, 경차와 정면충돌…3명 사망(종합)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