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유승민·이준석, 연금개혁안에 반대…"미래 세대 부담 커져"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 등 범보수권 인물들이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해 잇달아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 전 대표는 오늘(22일) 페이스북에서 "청년세대에 독박을 씌워서는 안 된다"며 정부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은 보험료율은 내년부터 해마다 0.5%포인트씩 8년에 걸쳐 현행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내년부터 현행 40%에서 43%로 올리는 내용입니다. '내는 돈'과 '받는 돈'을 모두 올리는 셈입니다.
한 전 대표는 보험료율에 대해 "언뜻 공평해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머지않아 연금을 받는 86세대를 비롯한 기성세대'보다 '앞으로 돈을 낼 기간이 훨씬 긴 청년세대'의 부담이 훨씬 크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소득대체율에 대해서도 "내년부터 곧장 인상하는 것도 문제"라며 "내야 할 돈은 천천히 올리고, 받을 돈만 즉시 올리면 내야 할 기간이 짧은 기성세대의 이득만 커지고 그만큼 청년세대의 부담은 무거워진다"고 강조했습니다.
유 전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국회를 통과한 '13%·43%'(의 개혁안은 여야가) 땜질하기로 담합한 것일 뿐"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유 전 의원은 "'더 내고 덜 받는' 연금개혁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나, '더 내고 더 받는' 방식으로 고갈 시점을 기껏 몇 년 늘린 것을 이대로 받을 수는 없다"며 "근본적 연금개혁을 다시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최상목 권한대행은 당연히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며 "청년들이 신뢰할 수 있는 연금개혁을 위해 정부도, 여야도 각자 단일안을 제시해서 (논의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의원은 "국회는 미래 세대를 학대하고 착취하는 결정을 내린 것"이라며 "선거를 앞두고 18년 만에 연금개혁을 이뤘다고 자화자찬, 자랑거리를 만들어내려는 졸속 합의, '답정너식' 연금 야합에 개혁신당은 결코 동참할 수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의원은 "평균 연령 60세에 가까운 이들이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의 미래를 난폭하게 갈라치는 행태는 여기서 멈춰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연금 자동조정장치 도입, 신·구 연금 분리안, 세대별 형평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등이 도입될 수 있도록 구조개혁에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년 60세→65세 올려라"…18세 이상 남녀 79% 찬성
- [내일 날씨] 포근하지만 일교차 커…곳곳 미세먼지 '나쁨'
- 대한항공, 美 보잉·GE서 48조원대 항공기·엔진 도입
- 이제 출근길에 삼성전자도…110개→350개로 늘어난다
- 金사과의 습격…장바구니 물가 또 올랐다
- 정보 유출 우려에…"中, 딥시크 직원들 여권 압수하고 출국금지"
- 트럼프 "美 공군 차세대 최첨단 전투기 F-47…사업자로 보잉 선정"
- 뉴욕 증시, 저가 매수 '네 마녀의 날' 넘어 동반 강세 마감
- '백종원 식당들' 안보인다 했더니…가맹브랜드 59% 매장 줄었다
- 지분 희석 논란 큰 데…이복현, 답정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