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연체율 하락·유동성 커져 안정세

정호원 2025. 3. 21.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마을금고가 연체율이 점차 하락하고 유동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전반적으로 안정세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됐다.

새마을금고는 재작년 여름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사태) 사태에 몰렸던 적이 있다.

행안부는 "2024년 초 전 금융권과 더불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도 상승했으나 목표관리, 연체채권 매각 등 적극적이고 집중적인 건전성 관리 결과 연말 연체율이 6월 말보다 하락하는 등 점차 안정화됐다"고 평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순자본율 8.25%, 규제비율 2배 상회

새마을금고가 연체율이 점차 하락하고 유동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전반적으로 안정세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됐다. 새마을금고는 재작년 여름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사태) 사태에 몰렸던 적이 있다.

행정안전부는 새마을금고 총자산은 작년 말 288조6000억원으로 전년도 말(287조원)보다 0.6% 증가했다고 21일 밝혔다. 총수신은 258조4000억원으로 2023년 말(254조9000억원)보다 1.4% 늘었다.

총대출은 183조7000억원으로 2023년 말(188조1000억원)보다 2.3% 줄었다. 이중 기업대출(107조2000억원)은 0.2%, 가계대출(76조5000억원)은 5.2% 각각 감소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전체 연체율은 2024년 말 기준 6.81%로, 같은 해 6월 말보다 0.43%포인트 하락했다. 2023년 말보다는 1.74%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0.41%로, 2023년 말 대비 2.67%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1.75%로 전년도 말보다 0.23%포인트 올라갔다. 행안부는 “2024년 초 전 금융권과 더불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도 상승했으나 목표관리, 연체채권 매각 등 적극적이고 집중적인 건전성 관리 결과 연말 연체율이 6월 말보다 하락하는 등 점차 안정화됐다”고 평가했다.

순자본비율은 8.25%였다. 2023년 말보다 0.35%포인트 하락했지만, 2024년 6월 말과 비교해선 0.04%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말 기준 예수금은 258조4000억원으로 전년도(254조8000억원)에 이어 안정세를 보였다. 가용 유동성은 68조8000억원으로 시장 충격에 충분한 대응이 가능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정호원·이태형 기자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