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호텔→장례식장' 간판 교체…초고령사회 일본의 현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보다 먼저 '초고령사회'(노인 인구 20% 돌파)를 겪고 있는 일본에서 1960년대 성행했던 '러브호텔'이 최근 장례식장으로 개조되고 있다.
본격적인 인구 감소가 시작된 한국도 지난해 초고령사회에 진입, 어린이집 등 영유아 시설이 노인 시설로 바뀌는 상황이다.
일본 경찰청 등에 따르면 러브호텔 수는 2016년 5670개에서 2020년 5183개로 감소했다.
일본에 이어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한국도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상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례식장 측은 홈페이지에 오픈 소식을 알리며 "집에서 장례식을 치르듯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거실을 형상화했다"고 설명했다.
누리꾼들은 "이것이야말로 '요람에서 무덤까지'", "같은 장소에서 삶을 시작하고 끝낼 수도", "러브모텔이었던 곳에서 장례식을 치르고 싶지 않다",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 등 반응을 보였다.
일본에서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러브호텔은 1980년대 '버블 시대'로 알려진 일본 경제의 절정기에 급성장했다. 연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으며 다양한 테마로 운영돼 재미도 더했다.
하지만 저출생과 고령화로 러브호텔을 찾는 이들은 급격하게 줄었다. 일본 경찰청 등에 따르면 러브호텔 수는 2016년 5670개에서 2020년 5183개로 감소했다. 4년간 매년 120개씩 폐업한 셈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했다. 특히 2008년 10%였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6년 만에 두 배로 증가하면서 빠른 고령화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이에 따라 영유아 시설들도 노인 요양 기관으로 바뀌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국 17개 시·도에서 받은 '장기 요양기관 전환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10년간 전국에서 어린이집·유치원에서 장기 요양기관으로 바뀐 사례는 총 283건이다.
전국 어린이집 수는 2019년 3만7371개에서 2023년 2만8954개로 4년 사이 22.5%(8417개) 줄었다. 반면 노인 시설은 2019년 7만9382개에서 2023년 9만356개로 17.2%(1만3674개) 늘어났다.
류원혜 기자 hoopooh1@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김수현, 해외팬 분노 심상치 않더니…프라다→조말론 "계약종료" - 머니투데이
- "둘째도 자폐 행동" 이상인 아내 오열…오은영 "형 따라 하고 있다" - 머니투데이
- 황철순 출소 후 아내 저격…"합의금 가로채고 남자들과 술파티" - 머니투데이
- 끝까지 편치 못한 김새론…결혼·낙태 폭로에 "본질 흐리기" 분노 - 머니투데이
- 박나래, 배우 집안서 소개팅 들어와…상대는 5살 연상 '미생' 배우 - 머니투데이
- "때리고 성병 옮겨" 전 여친 폭로에…'피범벅 사진' 올린 뮤지컬 배우 - 머니투데이
- "긴 말 안 한다, 고소 시작"…'이숙캠' 절약부부 분노, 무슨 일? - 머니투데이
- 통장에 들어온 6억…"신의 선물"이라며 펑펑 쓴 여성의 최후 - 머니투데이
- "돌 하나에 6000만원, 이걸 30개 설치?"…난리 난 신축아파트 - 머니투데이
- '미나 시누이' 150kg→83kg 폭풍 감량…달라진 일상에 '감격'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