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250만원 아니라 '2500만원', 실화냐?"···요즘 '초고액 월세' 늘어나는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금리와 전세 사기 여파로 부동산 시장에서 전세를 기피하는 현상이 뚜렷해면서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초고액 월세 계약도 늘어나고 있다.
1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올해 500만원을 초과한 월세 계약은 총 174건이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23만 8548건 중 500만원 이상 초고액 월세는 총 1404건으로 전체 월세 계약의 1.4%를 차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금리와 전세 사기 여파로 부동산 시장에서 전세를 기피하는 현상이 뚜렷해면서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초고액 월세 계약도 늘어나고 있다.
1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올해 500만원을 초과한 월세 계약은 총 174건이었다. 주로 서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 소재 고급아파트에서 거래가 이뤄졌다. 한남동 나인원한남에서는 지난달 전용면적 206㎡에서 보증금 15억원에 월 2500만원으로 계약이 완료됐다. 성수동 트리마제의 경우 지난달 월세 1000만원(보증금 5억원)에 69㎡형 계약됐고, 1월에는 월세 1100만원(보증금 3억원)의 같은 평형 계약이 성사됐다.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는 지난 1월 129㎡가 월세 1050만원(보증금 3억 15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23만 8548건 중 500만원 이상 초고액 월세는 총 1404건으로 전체 월세 계약의 1.4%를 차지했다.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지난 2020년(0.4%)과 비교할 때 증가세가 눈에 띈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최고급 아파트 거주를 원하는 수요 증가를 주된 원인으로 꼽는다. 한 전문가는 “기존에는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 소속 외국인들이 주로 초고액 월세 계약을 진행했다”며 “최근에는 최고급 아파트 거주를 원하는 국내 거주자들의 월세 수요가 늘면서 월세 금액도 집값 상승에 따라 높아지고 있다"고 상황을 짚었다.
그러면서 “유주택자들이 최고급 아파트 거주민들과의 네트워크 및 커뮤니티 시설 이용을 위해 이같은 아파트 거주를 원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며 “추가 매입을 하게 되면 보유세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소유하고 있는 주택 전월세로 초고액 월세를 충당하면서 ‘살기만 하는' 트렌드가 생겨나는 것”이라고도 했다.
김규빈 기자 starbea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운전 중 아냐?' 핸들에서 손 떼고 '기타 연주'한 운전자…동승 지인도 놀라
- '환자 강박 사망' 양재웅 측 '인권위 조사 내용 오류 있다…불복절차 진행'
- '피부과 시술 받다 2도 화상' 유명 여배우…법원, 의사에 '4800만원 배상하라'
- "제가 마약을 했습니다" 자수에도 '징역형' 받은 이 래퍼
- '위약금만 13억' 김수현, '대만 팬미팅' 참석할까
- '저속노화 교수님'도 결국 백기…'당직만 월평균 70시간 섰다'
- 훈육이라더니…11살 아들 야구방망이로 때려 숨지게 한 아빠 재판서 꺼낸 말
- '엄마 너무 피곤해요, 죽고 싶어요'…전쟁통에 머리카락 다 빠진 8살 소녀의 절규
- '통영 제조 '이 굴' 절대 먹지 말라' 美서 판매 중단에 회수 조치까지…무슨 일?
- '반려견이 뛰어들더니 가슴 냄새 맡아' 병원 갔더니 '이 병'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