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발 강남 아파트값 급등세 지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의 섣부른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가 촉발한 강남 아파트값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20일 발표한 '3월 3주(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송파구 아파트값은 지난주(10일 기준) 대비 0.79% 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섣부른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가 촉발한 강남 아파트값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20일 발표한 '3월 3주(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송파구 아파트값은 지난주(10일 기준) 대비 0.79% 올랐다. 상승률이 지난주 0.72%보다 0.07%p 더 커지며 2018년 1월 3주(15일 기준) 1.39% 이후 7년 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강남구는 지난주 대비 오름폭이 훨씬 커 송파구 상승률을 넘어섰다. 지난주 0.69%보다 0.14%p나 확대된 0.83%로, 2018년 1월 4주(22일 기준) 0.93% 이후 약 7년 2개월 만에 가장 컸다. 지난달 12일 서울시의 강남·송파구 토허제 해제 발표 이후 강남구 상승률이 송파구보다 높기는 이번 주가 처음이다.
서초구 아파트값도 오름폭 확대 추세가 이어졌다. 지난주 0.62%에서 이번 주 0.69%로 0.07%p 커져 2018년 1월 5주(29일 기준) 역시 0.69% 이후 7년 1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강남 3구 아파트값 상승세의 주변 지역으로 확산은 한층 뚜렷해졌다.
성동구(0.37%)와 용산구(0.34%) 상승률은 0.3%를 훌쩍 넘었다. 성동구와 용산구 모두 지난해 9월 2주(9일 기준) 각각 0.41%와 0.34% 이후 6개월여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양천구도 지난주 0.13%에서 이번 주 0.32%로 상승률이 급격하게 커지며 2019년 12월 3주(16일 기준) 이후 5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마포구(0.29%)와 강동구(0.28%) 및 광진구(0.25%), 영등포구(0.21%), 동작구(0.20%)도 오름폭이 0.2%대에 진입했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25% 올라 7주 연속 상승했고, 오름폭도 지난주 0.20%보다 0.05%p 확대됐다. 부동산원은 "역세권과 신축·대단지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꾸준하고, 가격 상승 기대감으로 매도 희망 가격이 오르는 가운데 신고가가 갱신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집값 흐름이 심상치 않게 돌아가자,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강남·송파구 토허제 해제 불과 한 달여 만인 지난 19일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체를 다시 토허제에 묶는 게 핵심인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당국의 '극약 처방'이 과연 서울 집값 상승세를 누그러뜨릴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이번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0.07% 올라 4주 연속 상승했다. 지방은 0.04% 떨어지며 42주째 하락을 반복했다. 지난주 보합(변동률 0.00%)이던 전국 아파트값은 0.02% 올랐다. 전국 아파트값 반등은 지난해 11월 1주(4일 기준, 0.01%) 이후 4개월여 만이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이희진 기자 heejjy@gmail.com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CM, 두 딸 아빠 고백 "단란하게 지내고 있다"
- 끝내 사과 없는 김수현, '미성년 증거'→'10일 공백' 쟁점들[다시, 보기]
- "일하는데 왜 돈이 없어?"…윤성빈 '캥거루족 비하' 논란 결국 사과
- 김건희, 尹체포에 "총 안 쏘고 뭐했나" 경호처 질책[뉴스쏙:속]
- 정성호 "이재명 '최상목 체포' 발언, 국민 분노 대신한 것"
- '다시 방미길' 안덕근 산업장관 "더티15 포함 예단할 수 없어"
- 산업부,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 발표
- '음주운전·불법숙박업 혐의' 문다혜 "깊이 뉘우쳐"…檢, 징역 1년 구형
- '감탄' 넘어 '공포' 자아내는 현대차 AI 로봇의 놀라운 진화
- 이성윤 "최상목 미르재단 486억 원 강제수금, 윤석열이 봐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