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과열 아니다"…뜨거운 中 증시 바라보는 증권가 시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증시가 연초 기술주 중심의 강세로 저평가 상태를 95% 해소했다는 증권가 의견이 나왔다.
기술주의 추가 상승을 위해선 실적 개선과 인공지능(AI) 투자 확대가 필요한데, 이 두 가지 요건 모두 양호하단 분석이다.
그는 "아직 중국 내수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음에도 실적 개선이 나타난 주된 원인은 기 술 분야에서 중국 로컬 기업들의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최근 중국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과 높은 성능을 바탕으로 내수 시장에서 해외 기업들의 점유율을 잠식해 왔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장사 실적개선으로 완만한 상승"
중국 증시가 연초 기술주 중심의 강세로 저평가 상태를 95% 해소했다는 증권가 의견이 나왔다. 기술주의 추가 상승을 위해선 실적 개선과 인공지능(AI) 투자 확대가 필요한데, 이 두 가지 요건 모두 양호하단 분석이다. 하드웨어보다는 가격 매력도가 높은 소프트웨어 분야 투자를 권했다.
20일 최설화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중국이 딥시크(Deepseek)의 부상과 정부의 민영기업 지원 기조에 힘입어 기술주를 중심으로 반등세를 보이면서, 미국과의 평가가치(밸류에이션) 격차를 빠르게 좁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MSCI China 지수는 연초 대비 23% 상승했고, 12개월 예상 주가수익비율(PER)도 11.5배까 지 회복했다. 이는 상하이 '록다운' 직전인 2022년 초나 코로나19 발발 직전인 2020년 초 수준의 95%까지 회복된 수준이라고 최 연구원은 평가했다.
그는 "그동안 이어졌던 저평가 국면이 상당부분 해소됐다고 볼 수 있다"며 "한편 미국의 예외주의 약화로 인해 미국 증시의 밸류에이션은 20.5배까지 하락하며 미-중간 밸류에이션 격차도 크게 축소되고 있다"고 했다.
추가 상승 동력으로는 실적 개선과 AI 투자 확대를 꼽았다. 그는 "이번 시장 반등은 과도하게 저평가됐던 밸류에이션의 정상화 과정"이라며 "중국 기업들의 실적이 상향 조정되고 있단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짚었다.
최 연구원에 따르면 빅테크 비중이 높은 홍콩H지수와 MSCI China 지수에서 실적 개선세가 특히 뚜렷하다. 중국의 12개월 예상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도 연초 대비 3.2%p 상향 조정됐으며, 이는 같은 기간 미국의 개선폭(1.8%p)보다 더 빠른 수준이다.
그는 "아직 중국 내수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음에도 실적 개선이 나타난 주된 원인은 기 술 분야에서 중국 로컬 기업들의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최근 중국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과 높은 성능을 바탕으로 내수 시장에서 해외 기업들의 점유율을 잠식해 왔다"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휴대폰 시장에서 애플의 점유율이 정체되고, 전기차 시장에선 테슬라의 점유율이 하락하는 반면, 샤오미와 화웨이의 점유율이 높아진 사례를 예로 들었다.
이어서 "중국 정부의 정책 역시 내수 부양에 집중돼 있다"며 "3000억위안의 이구환신 정책과 민영기업 지원을 통한 고용 확대 등을 통해 올해 하반기부터 소비가 회복될 가능성이 높을 전망으로, 이는 중국 기업들의 추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앞으로 중국의 기술주에 대해 올 1~2월처럼 가파른 상승속도를 기대하긴 어렵다"면서도 "상장기업의 실적 개선과 AI 생태계 확장 속도에 따른 완만한 상승은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과열됐다고 보긴 이르다고 평가했다. 그는 "MSCI China 지수의 밸류에이션 저점에서 많이 회복했지만 지난 5년의 평균 수준까지 회복돼 아직 과열을 논의하기에 이르다고 본다. 중국판 M7의 주가도 미국 M7보다 견조하다"고 말했다.
그는 업종, 종목별로 접근하길 권했다. 중국 기술주에서도 IT 하드웨어 업종의 밸류에이션은 55배로 이미 미국의 38배보다 고평가돼 있다.
최 연구원은 "소프트웨어 업종은 여전히 미국 대비 중국기업이 저평가돼 있고, 앞으로 AI 도입과 내수 경기 회복에 의한 성장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선호한다"며 "지수의 경우 이들 종목 비중이 더 높은 MSCI CHINA(KWEB), 항셍테크, 과창판50 지수 순으로 투자매력이 높다고 본다"고 밝혔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너무 세게 물렸다'…동학개미 '눈물의 반려 주식' 뭔가 보니
- "멀쩡한 종이 버릴 수도 없고"…김수현 논란에 사장님 '불똥'
- '천당 밑에 분당' 너무 좋아…주민들 만족도 조사해보니
- "돈 더 내고 한집배달 시켰는데 왜" 불만 폭발…억울한 라이더들 [이슈+]
- 美상무 "농촌에 스타링크 깔아라" 논란…전 회사는 "테슬라 88% 오를것"
- 믿었던 '국민과자'도 안 팔린다…초유의 상황에 '비명'
- "황금연휴 6일 쉰다" 환호…연차 쓰고 몰려드는 곳이
- "한국 손잡자" 中 '러브콜' 쏟아진 이유가…뜻밖의 상황 [클릭 차이나]
- 매달 70만원씩 모았더니…5년 뒤 통장에 찍힌 돈이 '깜짝'
- 베트남 여행가는데 어떡해…'벌써 5명 사망'에 발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