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신문] 진보·보수 갈등 역대 가장 심각

2025. 3. 4. 06: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투데이]

◀ 앵커 ▶

'오늘 아침 신문' 시작합니다.

◀ 앵커 ▶

우리 국민이 느끼는 '사회 갈등'의 정도가 지난해 사상 최고 수준에 달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는데요.

특히 정치적 갈등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앵커 ▶

조선일보입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지난해 6월부터 3개월간 19세부터 75세까지의 성인 3천 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진행했는데요.

그 결과 우리 사회 갈등 정도는 4점 만점에 3.04점으로,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8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여러 갈등 유형 가운데 수치가 가장 높았던 건 3.52점인 '진보와 보수 간 갈등'으로, 빈부격차나 지역갈등보다 약 0.5점 높았는데요.

세대별로는 중장년층이 노년층이나 청년에 비해 보혁 갈등에 대해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특히 윤 대통령의 탄핵 여부 결정을 앞두고 우리 사회 정치 갈등이 더 심화하고 있다며, 정치적 문제가 개개인의 갈등으로 이어지는 걸 막기 위해선 사회 전체가 타인의 입장을 헤아리는 통합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겨레입니다.

새 학기를 앞두고 특수를 노리던 문구점들의 줄폐업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기사입니다.

지난해 전국 문구 소매점 수는 7천8백여 곳으로, 5년 전에 비해 20%가량 줄었는데요.

문구 소매점의 자리를 다이소 등 저가 생활용품 유통 업체와 온라인 쇼핑몰이 대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온라인 문구 및 사무용품 거래액은 지난해 2조 원으로 크게 확대되는 추세인데요.

또 학교에서 교과과정에 필요한 준비물을 구매해 학생에게 지급하는 '학습준비물 지원제도'도 원인으로 꼽힙니다.

학교에서 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할 때는 가격 경쟁력이 우선시되다 보니 동네 문구점이 참여하기 어려운 구조인 건데요.

문구점 단체들은 소형 문구점들의 공동 구매 연계나 온라인 판매 확장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이어서 국민일보입니다.

지난해 렌터카 이용 중 과태료를 부과받은 외국인 10명 중 6명이 과태료를 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경찰청에 따르면 외국인 렌터카 이용자의 과태료 미납률은 2020년부터 5년간 평균 50.7%로, 같은 기간 내국인 미납률 평균보다 2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국적별로는 지난해 기준 '중국인'에게 부과된 과태료가 3천2백 건, 부과액이 1억 7천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인과 우즈베키스탄인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내국인의 경우 렌터카 이용자에 대한 정보 확인이 수월하지만, 외국인 이용자는 해외로 출국하면 사실상 과태료 징수가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내국인에 대한 역차별 문제에 더해 관련법을 위반해도 제재를 받지 않는다는 인식이 강화될 수 있어, 외국인 렌터카 과태료 징수율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서울신문입니다.

전투복 품질 개선에 나선 육군이 공급업체의 입찰 성능시험에 과도한 기준을 적용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현재 육군에서는 8종의 겉옷을 기능성과 보온성 등을 높인 4종으로 교체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공급업체가 충족해야 하는 성능시험 중 '피복의 오염에 따른 수분침투방지 시험'에서 육군은 한국군은 사용하지 않고 주로 미군이 쓰는 해충방지제인 '디트'로 손상 여부를 시험하겠다고 한 겁니다.

또 물기에 젖은 상태에서 피복을 오랫동안 접어 뒀을 경우 습기가 차단되는지 확인하는 시험에서는, 미군보다 14배나 강한 기준을 적용했는데요.

공급업체들은 왜 필요한지 납득할 수 없는 기준을 넣으면서 사실상 특정 업체만 독점적으로 입찰이 가능하게 한 구조라고 주장했습니다.

육군 측은 한국군이 사용하는 해충방지제는 현재 시험법이 없으며, 해당 기준은 관련 기관의 토의와 심의를 통해 결정된 기준이라고 반박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지역 신문 기사 살펴보겠습니다.

경북매일인데요.

여성친화도시로 선정된 포항시가 양성평등기금 지원 사업의 적은 예산과 불투명한 사업 내용으로, 정작 양성평등 실현에 많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포항시가 올해 편성한 양성평등 지원사업비는 2천만 원으로, 선정된 단체에 최대 450만 원까지 지원했는데요.

다른 여성친화도시인 경기 고양시는 해당 사업에 8천만 원을 편성했고, 충북 증평군은 최대 6백만 원을 지급한 것과 비교하면 예산이 적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또 올해 사업 공모에 심의 기준과 선정 결과 등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명시하지 않고 있어 투명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요.

사업 지원 조건엔 '포항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이라는 애매한 조건을 포함시켜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오늘 아침 신문'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5/nwtoday/article/6692055_36807.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